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읽기자료) EAI, [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

천상의꿈 2024. 11. 6. 12:39

동아시아연구원(EAI, 이사장: 하영선)에서는 10월 31일자로 [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을 간행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10월 27일 치러진 일본 중의원 총선거를 전문가들이 분석-평가한 것입니다. 일본 정치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해하고 전망해 보는데 좋은 학습 자료이기도 합니다. (읽기자료)로 소개해봅니다.

www.joongang.co.kr; www.eai.or.kr

 

구성은 모두 3편으로 되어 있네요. 이슈브리핑 구성 소제목 만 보아도 전체적인 맥락을 알 수 있습니다.

 

- “탈 아베 시기 진입과 정치 쇄신 압력 속 이시바 정권의 딜레마.”

- “자민당 정치의 위기: 장기집권, 정치자금, 정치개혁.”

- “이시바 자민당의 ‘지키다’ 지향과 경제정책의 향배.”

 

* 세부적으로 보면,

 

(1) “탈 아베시기 진입과 정치 쇄신 압력 속 이시바 정권의 딜레마.” 이주경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이 글에서는 먼저 중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하고, 2024년 선거의 정치적 좌표를 네 가지로 정리하고 있네요.

1. 총리 해산권의 전략적 활용 효과 퇴색,

2. 유권자 선택의 유동화,

3. 야당 대응의 활성화,

4. 자민당 당내 갈등 현재화입니다.

선거과정과 결과에서 드러난 특징을 의미하죠. 향후 일본정치에 대한 전망도 하고 있습니다.

 

(2) “자민당 정치의 위기: 장기집권, 정치자금, 정치개혁.” 김성조 (연세대학교 동아시아국제학부 교수)

 

이 글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I. 반복된 위기의 구조: 정치자금, 정치개혁, 그리고 장기집권

II. 포스트 아베 시기 자민당: 위기의 전개

1. 2022년 통일교 논란과 대응

2. 2023년 파벌 정치자금 문제와 대응

III. 총재선거 및 총선거: 자민당 위기의 현실화

1. 총재선거 과정의 자민당 엘리트 간 관계

2. 선거 과정의 이슈: 조기 총선과 정치자금 관련 공인 문제

IV. 나가며: 총선 이후 위기 대응과 당내 정치의 동학

 

마지막으로,

(3) “이시바 자민당의 ‘지키다’ 지향과 경제정책의 향배.” 이정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입니다.

목차는,

 

I. 인플레이션 속에서의 총선거,

 

II. ‘지키다’의 이시바 비전,

 

III. 기시다 정권 계승의 한계,

 

IV. 일본 차기 정권의 경제정책 방향성 전망 이네요.

 

경제정책 측면에 중점을 두고 다뤘음을 알 수 있죠.

 

끝으로, 위의 글들은 동아시아연구원(EAI)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으며, 일본 정치에 관심 있고 보다 깊이 탐구하고 싶은 분들은 일독을 권합니다.

 

https://www.eai.or.kr/new/ko/pub/list.asp?board=kor_issuebriefing

 

EAI 동아시아연구원

 

www.eai.or.kr

 

또한 각 글의 핵심을 잘 요약해 집약하고 있는 <편집자의 노트>(Editor’s Note)도 참고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