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그간 10월 5주 동안 매주 주간 국제정세를 정리했는데, <월간 국제정세>이니 이의 종합판이 되겠네요.
핵심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죠.
10월 첫 번째 주의(9.29-10.5) 핵심어는,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내각 출범(10.1), △ Mark Rutte NATO 신임 사무총장(10.1), △ 미국 부통령 TV 토론(Tim Walz-J.D.Vance), △ EU, 중국 전기차에 관세(45.3%) 부과, △ 이스라엘-이란-레바논 군사 공방 지속 등입니다.

두 번째 주의(10.6-10.12) 핵심어는,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2024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11), △ 아세안 + 한중일 정상회의ㅣ(10.11) 등입니다.

세 번째 주의(10.13-10.19) 핵심어는,
△ 스타십(Starship), 메카질라(Mechazilla), △ 2024 노벨 경제학상, △ MSMT 출범(10.16), △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 △ 야히아 신야르(Yahya Sinwar), △ NATO 국방장관 회담(10.17) 등입니다.

네 번째 주의(10.20-10.26) 핵심어는,
△ G7 국방장관 회담(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 △ 조지아 총선(10.26), △ 러시아 3대 핵전력 훈련 등입니다.

다섯 번째 주의(10.27-11.2) 핵심어는,
△ 일본 자민당 과반 획득 실패(10.27), △ 미국, 대중(對中) 투자 차단 행정명령 규칙, △ 한미 56차 SCM(10.30), △ 한미, 2+2 장관급 대화(10.31), △ 북한 화성-19형 ICBM 발사(10.31) 등입니다.

* 다시 한 번 정리해 읽어 봅니다.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내각 출범(10.1),
△ Mark Rutte NATO 신임 사무총장(10.1),
△ 미국 부통령 TV 토론(Tim Walz-J.D.Vance),
△ EU, 중국 전기차에 관세(45.3%) 부과,
△ 이스라엘-이란-레바논 군사 공방 지속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2024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11),
△ 아세안 + 한중일 정상회의ㅣ(10.11).
△ 스타십(Starship), 메카질라(Mechazilla),
△ 2024 노벨 경제학상,
△ MSMT 출범(10.16),
△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
△ 야히아 신야르(Yahya Sinwar),
△ NATO 국방장관 회담(10.17).
△ G7 국방장관 회담(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
△ 조지아 총선(10.26),
△ 러시아 3대 핵전력 훈련.
△ 일본 자민당 과반 획득 실패(10.27),
△ 미국, 대중(對中) 투자 차단 행정명령 규칙,
△ 한미 56차 SCM(10.30),
△ 한미, 2+2 장관급 대화(10.31),
△ 북한 화성-19형 ICBM 발사(10.31).
2024년 10월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여전히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과 조지아에서의 총선, 미국 대선을 겨냥한 선거운동 진행, ASEAN, BRICS 등의 다자 정상회의 개최, 미-중 간 첨단기술을 둘러싼 경쟁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한강(Han Kang)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인공지능(AI)과 연관된 노벨상 수상자들이 등장해 주목을 끌었죠. 10월 하순부터는 러우전쟁에 북한군이 파병된다는 보도속에 유럽과 한반도 안보정세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11월 5일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의 해리스 진영과 공화당 트럼프 진영의 선거 운동이 더욱 치열해 졌으며, 여론조사 결과도 박빙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주목됩니다.
7개 경합주(스윙 스테이트, swing states)를 중심으로 젠더 갭(gednder gap), 샤이(shy) 트럼프와 히든(hidden) 해리스에 주목하면서 과연 누가 제47차 미국 대통령이 될지 지켜보아야겠습니다.
핵심어는 당분간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익혀두면, 국제정세 지속과 변화를 탐구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한 번만 더~~ <2024년 10월 핵심어> 내용을 읽고 익혀봅니다.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내각 출범(10.1),
△ Mark Rutte NATO 신임 사무총장(10.1),
△ 미국 부통령 TV 토론(Tim Walz-J.D.Vance),
△ EU, 중국 전기차에 관세(45.3%) 부과,
△ 이스라엘-이란-레바논 군사 공방 지속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2024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11),
△ 아세안 + 한중일 정상회의ㅣ(10.11).
△ 스타십(Starship), 메카질라(Mechazilla),
△ 2024 노벨 경제학상,
△ MSMT 출범(10.16),
△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
△ 야히아 신야르(Yahya Sinwar),
△ NATO 국방장관 회담(10.17).
△ G7 국방장관 회담(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
△ 조지아 총선(10.26),
△ 러시아 3대 핵전력 훈련.
△ 일본 자민당 과반 획득 실패(10.27),
△ 미국, 대중(對中) 투자 차단 행정명령 규칙,
△ 한미 56차 SCM(10.30),
△ 한미, 2+2 장관급 대화(10.31),
△ 북한 화성-19형 ICBM 발사(10.31).
익어가는 가을 단풍과 함께 11월에는 어떤 모습의 지구촌 국제정세 풍향계가 돌아갈 지 계속 탐구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자료)<도널드 트럼프의 귀환>, 세계는 어디로? (10) | 2024.11.07 |
---|---|
(읽기자료) EAI, [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 (6) | 2024.11.06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7-11.2) - Issues & Key Words (7) | 2024.11.04 |
미국 대선 승부처,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s) (4) | 2024.11.03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0-10.26) - Issues & Key Words (3)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