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그간 9월 4주 동안 매주 주간 국제정세를 정리했는데, <월간 국제정세>이니 이의 종합판이 되겠네요.
<핵심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죠.
* 9월 첫 번째 주의(9.1-9.7) 핵심어는
△ 러시아-몽골 정상회담(울란바토르), △ 프란치스코 교황, 4개국 순방, △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9.3-6), △ 마크롱, 바르니에 프랑스 총리 지명,△ 한미핵협의그룹(NCG), △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정상회의(베이징) 등입니다.
* 두 번째 주의(9.8-9.14) 핵심어는
△ REAIM 폐막[9.10], △ 해리스-트럼프 TV 토론 [9.11], △ 왕이, BRICS 안보 고위급 회담[9.11], △ 블링컨, 래미, 젤렌스키[9.12], △ 바이든, 스타머 정상회의[9.13], △ 챗GPT ‘o1’(오원)[9.13] 등입니다.
* 세 번째 주의(9.15-9.21) 핵심어는
△ 숄츠 총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순방(9.15-17), △ 레바논에서 ‘삐삐폭탄’ 연쇄 폭발, △ 미 연준, 빅 컷(big cut) 단행(9.18), △ 오타니 쇼헤이, 50-50 달성(9.20),△ 2024 Quad Leaders’ Summit(9.21) 등입니다.
* 네 번째 주의(9.22-9.28) 핵심어는
△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 심화, △ 하산 나스랄라(Hassan Nasrallah), △ 유엔 총회 개막(9.24~), △ 중국, 은행지급준비율 0.5% 인하,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자민당 총재 선출[9.27] 등입니다.
** 다시 한 번 정리해 읽어 봅니다.
△ 러시아-몽골 정상회담(울란바토르),
△ 프란치스코 교황, 4개국 순방,
△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9.3-6),
△ 마크롱, 바르니에 프랑스 총리 지명,
△ 한미핵협의그룹(NCG),
△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정상회의(베이징),
△ REAIM 폐막[9.10],
△ 해리스-트럼프 TV 토론 [9.11],
△ 왕이, BRICS 안보 고위급 회담[9.11],
△ 블링컨, 래미, 젤렌스키[9.12],
△ 바이든, 스타머 정상회의[9.13],
△ 챗GPT ‘o1’(오원)[9.13]
△ 숄츠 총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순방(9.15-17),
△ 레바논에서 ‘삐삐폭탄’ 연쇄 폭발,
△ 미 연준, 빅 컷(big cut) 단행(9.18),
△ 오타니 쇼헤이, 50-50 달성(9.20),
△ 2024 Quad Leaders’ Summit(9.21).
△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 심화,
△ 하산 나스랄라(Hassan Nasrallah),
△ 유엔 총회 개막(9.24~),
△ 중국, 은행지급준비율 0.5% 인하,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자민당 총재 선출[9.27] 등입니다.
2024년 9월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정상들의 외교 활동, 미국 대선 동향, 미 연준의 빅 컷과 중국의 경기 부양책 발표 등 국제정치경제적 사안,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선출 등 주요 정치지도자의 변화, AI 생태계를 둘러싼 경쟁 등이 나타났습니다.
<핵심어>는 당분간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익혀두면, 국제정세 지속과 변화를 탐구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 다시 한 번 정리된 내용을 읽고 익혀봅니다.
- 러시아-몽골 정상회담(울란바토르),
- 프란치스코 교황, 4개국 순방,
-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9.3-6),
- 마크롱, 바르니에 프랑스 총리 지명,
- 한미핵협의그룹(NCG),
-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정상회의(베이징),
- REAIM 폐막[9.10],
- 해리스-트럼프 TV 토론 [9.11],
- 왕이, BRICS 안보 고위급 회담[9.11],
- 블링컨, 래미, 젤렌스키[9.12],
- 바이든, 스타머 정상회의[9.13],
- 챗GPT ‘o1’(오원)[9.13]
- 숄츠 총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순방(9.15-17),
- 레바논에서 ‘삐삐폭탄’ 연쇄 폭발,
- 미 연준, 빅 컷(big cut) 단행(9.18),
- 오타니 쇼헤이, 50-50 달성(9.20),
- 2024 Quad Leaders’ Summit(9.21).
-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 심화,
- 하산 나스랄라(Hassan Nasrallah),
- 유엔 총회 개막(9.24~),
- 중국, 은행지급준비율 0.5% 인하,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자민당 총재 선출[9.27] 등입니다.
10월은 1일부터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첫 출범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미국 대선이 11월 5일니 더욱 선거전이 치열하겠죠. 중동 정세는 또 어떻게 될까요. 자연재해를 포함해 지구촌 기후변화는 괜찮을까요. 첨단 기술을 둘러싼 AI 생태계 구축 관련 새로운 AI 소식은 무엇일까? 등등..
가을이 본격화되는 10월에는 어떤 모습의 지구촌 국제정세 풍향계가 돌아갈 지 계속 탐구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기자료] 최근 <중동정세 이해>에 도움이되는 글 <2편> (7) | 2024.10.03 |
---|---|
NATO의 새 사무총장 – <마크 뤼테>(Mark Rutte) 취임(10.1) (3) | 2024.10.02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9.22-9.28) - Issues & Key Words (5) | 2024.09.30 |
일본 <이시바 시게루> 새 총리 선출(9.27) (6) | 2024.09.28 |
IPE 정세 –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출범 (4)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