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챗GPT 7

인공지능(AI), 강의 주제, 국제정치경제(IPE)와의 연계

사회과학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지금은 융복합적 측면에서 인공지능(AI)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알아야 합니다. 이의 연장선에 국제정치경제(IPE) 부문이 이에 해당 된다 볼 수 있죠. 인공지능(AI)은 미래 국제질서와 일상생활 양태까지 변화시키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이기도 합니다. 이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 강의 주제만 익혀도 국제정치경제 정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해 에서 운영하는 내용을 소개를 해봅니다. - 생성형 AI(인공지능)의 기술적 진화와 미래 전망 – ChatGPT부터 미래형 AI까지.- AGI(인공일반지능)와 ASI(초인공지능)의 시대의 서막- AI 스타트업이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와 미래 전략 – AI..

IPE(국제정치경제) 정세 : <디지털 테크>

최근 AI(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경쟁이 가열 찹니다. AI 음성시장, AI 비서, AI 영상, AI 안보 등등. 챗(Chat) GPT가 불어온 일상에서의 변화이죠. 오픈소스로 배포된 주요 음성 AI 모델과 경쟁을 탐구해봅니다.  이는 국제정치 영역 중에서 국제정치경제(IP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분야와 접맥이 됩니다. 몇 개의 핵심어만 익혀도 도움이 될 듯해서 살펴봅니다. 하면, 누구나 무료로 소스코드에 접근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무료라는 이점을 갖고 있어 많이들 접근하며, 이를 통해 선점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죠. 더 나아가 기술 표준화를 이루는데도 도움이 되구요. LLM(거대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의 경우 AI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9.8-9.14) - Issues & Key Words

9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9월 8일부터 9월 14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REAIM 폐막[9.10], △ 해리스-트럼프 TV 토론 [9.11], △ 왕이, BRICS 안보 고위급 회담[9.11], △ 블링컨, 래미, 젤렌스키[9.12], △ 바이든, 스타머 정상회의[9.13], △ 챗GPT ‘o1’(오원)[9.13]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9월 10일 REAIM 즉, 가 폐막되었습니다. 영어 표기로는 Responsible AI in the Military domain 이죠.​폐회식에서는 ‘행동을 위한 청사진’(Blueprint for action)이라는 문건을 61개국이 찬성한 가운데 채택되었습니다. AI가 아닌 인간이 핵무기에 대..

[국제정세 읽기] AI가 쏘아올린 ‘반도체 3차 대전’ 격화

(Chip War)의 저자가 인터뷰를 했네요. 무슨 내용인지? 어떤 점에서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반도체 3차 대전이라니, 1, 2차 대전이 있었겠죠. ​ 1차 대전은 1980년대 치러진 미-일 간 전쟁이고, 2차 대전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한-일과 독일, 대만 등이 벌인 전쟁이죠. 한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의 TSMC가 대표적 승자가 되었죠. 이제 3차 대전의 서막이 올랐습니다. AI 때문에. 반도체 전쟁이 다시 불붙은 겁니다. 생성형AI인 챗GPT가 출현한 이후 더욱 첨단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 졌지요. ​ 구글, 오픈AI, MS, 애플 등 대기업은 물론이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미래 AI 패권을 놓고 ‘전쟁 아닌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입..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관계] 탐구의 팁(Tip) - 챗GPT 활용, AI시대 앞서기

챗GPT 등장 관련 새로운 공부, 교습 방법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살펴봅니다. 국제정치 영역이 빠르게 바뀌고, 국제정세의 변화도 심하죠. 지금은 코로나(COVID-19) 시대를 지나 AI(인공지능) 시대로 불리우죠. 더군다나 챗(Chat)GPT가 일상화되면서 많은 변화와 혁신이 이뤄지고 있어요. [국제정세, 국제정치, 국제관계] 부문을 연구하고 공부하는 세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적응하기 위해 몇 가지 시사점과 어떤 태도가 바람직한 지 살펴봅니다. 1. 호기심과 상상력은 여전히 중요하다. 2. 질문을 아주 잘해야 한다. -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것일수록 효용 가치가 있고 더 정확하다. 그래서 전문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테면, 국제정치 탐구에 있어 에 대해 알고 챗(Chat)..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2.18-2.24) - Issues & Key Words

2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Deep Fake, △ 오디세우스(Odysseus), △ AI 패권전쟁,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주년 등입니다. 큰 틀에서의 국제정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소모전, 장기전 지속이 이뤄지고 있죠. 물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도 협상에 이르지 못하고 계속 중동정세는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간 국제정세의 측면에서 볼 때 당분간 핵심어의 자리를 계속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주에는 Deep Fake 문제가 국제적으로 논의되었어요. 특히 2월 16-18일간 독일 뮌헨에서 국제안보회의 개최되었는데, 여기서 Deep Fake 콘텐츠 확산의 위험성에 대해 다뤘어요. ​ 또한 오픈AI, 구글, 메타, MS, 틱톡 등은 유권자를..

미래 세계의 돈이 어디로 가고 있나? <샘 올트먼>이 ‘AI 다국적 연합군’을 모색하고 있는 까닭은?

챗GPT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이 최근 어떤 행보를 보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샘 올트먼(Sam Altman)은 2023년 6월 IT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을 만났고, 이어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하고, 금년 1월에는 한국을 방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반도체 협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무얼 구상하고 있을까요? 바로 AI 반도체 독자 생산을 위한 국제 투자를 모색하고 있는 겁니다. 투자 금액이 무려 최대 7조 달러(약 9300조원)에 이른다고 하네요. 다소 무리가 있는 금액 같아 보입니다만 그만큼 미래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일단 보면, 중동과 일본에게서 자본을 끌어오고 생산은 TSMC와 삼성전자와 협업을 하는 구상이죠. 물론 기본 설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