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정치 99

[읽기자료] – 한국정치학회 매거진, <정치와 정책>(P&P)

한국정치학회(회장: 조화순 교수)에서 창간호를 발간했습니다. ​은 “미래를 위한 정치학, 미래를 함께 만드는 정치학회”를 표방하고 있는 한국정치학회가 사회에 기여할 방안을 고민한 결과물이라고 소개하고 있네요. 이번호에서는 국내외 7개의 주요 현안에 대한 분석과 정책 제언을 담고 있습니다. 1. 윤성이(경희대), [22대 총선과 민주주의] – 전환의 시대, 대의 민주주의 위기와 권력 분산의 제도 개혁 2. 하상응(서강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포스트-바이든, 포스트-트럼프,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여야 하는가? 3. 문우진(아주대), [정당 민주주의 개혁] - 정치 양극화, 정당들의 후보 공천제도부터 바뀌어야 한다. 4. 정성윤(통일연구원), [북핵과 한반도 안보] - ‘자강(自强)’..

학술지 - <국제정치논총>(64집 2호) 소개

최근 국제정치학계에 발간된 논문집을 소개합니다.이를 통해 국제정치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제정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학술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입니다.이는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가 계간으로 발간하는 학술지입니다. 이번에 간행된 제호가 제64집 2호입니다. 64년이 되었음을 알 수 있고, 1년에 네 번 출간됩니다(03월 31일, 06월 30일, 09월 30일, 12월 31일). 1963년 08월 10일에 창간호가 발행되었네요. 제법 출간 기간이 길고 역사가 있죠. 발행기간이 1963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되어있으며, 총 권 호수는 164이고, 논문 수는 2,374편입니다. 한국에서 국제정치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로 평가됩니다. 201..

2024.7월 국제정치의 <빅 이벤트> : SCO, NATO 정상회의

7월에는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 질서 재편과 관련해 두 개의 큰 정상회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뭔지, 무슨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7월 2~6일간 카자흐스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입니다. 카자스흐탄 수도에 열리는 연례적 정상회의이죠. 개최되는 카자흐스탄 수도 이름도 익혀두죠. 입니다. 현재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은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입니다.​근데 중요한 것은 여기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해 지난 5월에 이어 다시 한 번 중-러 정상 간 회동이 이뤄진다는 점이죠. 중국은 미국의 대중 무역 제재와 각종 첨단기술 이전 금지 등의 조치로 인해 갈등 빚고 있으며, 미국과 글로벌 패권 경쟁을 벌이..

2024년 6월, <유엔안보리 이사회> 외교전 풍경

6월 28일(금) 유엔안보리 이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한국은 지난 6월 6일 유엔안보리 이사국 선거에서 2024-2025년 임기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이때 알제리,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가이나와 함께 선출되었는데요, 193개국중 192개국이 투표에 참여했죠. ​당선을 위해서는 193개국 중 출석 투표한 국가의 2/3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합니다. 한국은 당시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태그룹 소속의 이사국으로 당선되었지요.* 참고로 상임이사국 5개 국가는 알고 있을 테고, 비상임 국가들은 아프리카에 3개국, 아시아 2개국, 동유럽 1개국, 중남미 2개국, 서유럽과 기타지역에 2개국씩 할당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5 + 10으로 총 15개국으로 구성됩니다. 6월에는 이 유엔안보리 이사회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6.28-29) 소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회장: 정세진 교수)에서 제12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를 6월 28-29일간 한양대학교에서 개최하네요. 무슨 내용을 다루게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는 1985년에 설립되어 39년이 흘렀네요. 회원 수는 450여명에 이르며,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포괄하는 러시아 및 유라시아학 연구의 국내 최대 학회라는 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회지는 [슬라브학보]로 계간지 형태로 발간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는 12차에 이르듯 역사가 깊으며, 그간 코로나19로 인해 끊어진 것을 다시 시작하는 겁니다. 이번에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17개국에서 200여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학술대회입니다. 국제학술회의는 영문으로 The 12th East ..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하계 학술대회(6.26-28) 소식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에서 하계 학술대회를 6월 26-28일간 강릉에서 개최하네요. 무슨 내용을 다루게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는 1956년 5월에 창립되었으니, 꾀 오래되었지요. 또한 국문 학술지 과 영문지 KJIS(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를 발간하고 있어요. 둘 다 저명한 국제정치 관련 저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에서의 활동은 한국의 시각에서 국제정치를 어떻게 다루고, 무엇을 연구하는지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 년에 4차례 계절별로 학술회의를 여는데, 이번 여름에는 “익숙한 미래? 한국국제정치의 새로운 상상력”(Familiar Future? New Imaginations in Korean I..

나토(NATO)의 사무총장이 바뀐다구요?

10월 1일부터 나토의 새로운 사무총장으로 네덜란드의 마르크 뤼터(Mark Rutte) 총리가 사실상 확정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사무총장을 맡아온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의 뒤를 잇는 것이지요. * NATO :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사실 유럽의 대표적인 군사안보기구인 나토(NATO)의 대표가 누가될 것인가 하는 점은 지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국제정치 주요 행위자(actor)로서 정치적 리더십(political leadership)과 성향 등이 중요하고, 이것은 미래에 나토를 어떻게 이끌어 나갈 것인가 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죠. 마르크 뤄터 총리는 2010년부터 네덜란드 총..

스위스에서 <우크라이나 평화 정상회의>가 열렸네요. 뭐가 다뤄졌나요?

스위스 뷔르겐슈톡 리조트에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열렸습니다. 6월 15일부터 이틀간 열린 회의에는 미국 등 서방국가들을 포함해 전세계 100여 개국이 참여했으며, 중국과 러시아는 불참했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치러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제정세의 단면과 진영화의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공동성명이 발표되었는데, 모두 82개국 대표단이 서명하였다고 비올라 암허드 스위스 대통령이 밝혔네요. 참여국이 100여개 국가였는데 모두 찬성한 것이 아니죠. 국익에 따라 채택 여부를 결정한 것으로 볼 수 있죠. 어떤 의미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해결을 위한 국제적 규모의 첫 회의라는 의미가 퇴색했다고도 평가될 만하죠. 서명하지 않은 국가들은 대개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UAE),..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열렸네요. 어떤 내용을 담았나요?

6월 4일(화) 한국-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이번 한국과 아프리카 정상회의는 처음으로 열린 다자 정상회의이네요. 아프리카 국가 48개국이 참여했고, 25개국에서는 대통령 등 최고지도자가 참여했어요.아프리카 국가들은 최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핵심 구성원 중하나이죠.​아프리카 국가들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전쟁 폐허에서 선진국에 이른 발전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 하죠. 이번에 체결된 내용을 보면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지 알 수 있죠. ​한-아프리카 경제동반자 협정(EPA), 무역 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가 체결되었습니다. 또한 한국은 25개국과 양자회담을 하고, 12건의 조약과 협정을, 그리고 34건의 ..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 소개 - 2024년 학술회의 일정은 뭐죠?

학술회의 주제와 발표 논문 등만 보아도 최근 연구 동향의 일부를 알 수 있죠. 학술 탐구 차원에서 의 활동을 간략히 살펴보죠.​5월 24일(금)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에서는 한국사이버안보학회와 공동으로 특별 학술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먼저 주제는 “주변 4망(網)의 사이버 국제관계: 미일중러의 경쟁과 협력”이었네요. 매우 시의성있는 내용이죠. 현재 글로벌 안보 질서 재편과도 연계되어 있으니 까요. 전체 3부로 다뤄졌고,  1부는 주변 4망(網)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국제관계2부는 주변 4망(網)의 사이버 국방 전략과 국제관계3부는 주변 4망(網)의 사이버 외교 전략과 국제관계 로 구성되었네요. 미-일-중-러를 중심으로 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토론도 이뤄졌네요. 사이버 안보와 연계된 을 다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