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2025/04 6

[지식 스토리지 25-1] 유라시아 국제정치 관련 동향-강의자료

[지식 스토리지] 25-1입니다. 유라시아 국제정치와 관련된 동향과 분석 상황을 정리, 모아본 것입니다.국제정세 사안과 이슈를 어떻게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참고해 보길 권합니다. (총 7편의 PDF)  주요 내용은,​- 푸틴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참석(202.09.07)- 총리, 카자흐스탄 방문, 함의는?(2024.09.19)-[Quiz]로 풀어보는 국제정세 (2024.09.18)-, 몽골 울란바토르 방문, 함의는?(2024.09.04)-의 중국 방문, 함의는?(2024.08.30)- 미중 외교회담(2024.08.28)- 인도 총리, 우크라이나 방문, 함의는?(2024.08.24) 등 ​총 7편의 PDF 로 정리했습니다.​국제정세 탐구하는 방법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트럼프발(發) 관세전쟁(Trade War)의 서막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 부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의 여파로 미국 증시는 물론 한국, 일본, 홍콩 아시아 증시가 연쇄적 폭락을 하고 있죠.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러는지~ 그 시작과 이에 담긴 국제정치경제(IPE)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미국이 부여한 비율은 중국에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인도 26%, 대만 32%, 베트남 46% 등입니다. 한국은 오락가락한 끝에 최종 25%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의 발효 시점은 4월 5일부터 10% 기본관세가 부여되며,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입니다. 이를 테면, 한국 수출품은 5일부터 10% 관세가 부과되고, 9일부터는 관세율이 25%로 오르게 되는 거지요. 이는 2차 대전 이후 구축되어 온 자유무역 체계를 크게..

나토 32개국+IP4 외교장관 회의(4.4, 브뤼셀)

2025년 4월 4일(금) 벨기에 브뤼셀에서 나토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오는 6월 나토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성격도 띠었고,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참석으로 여러 이견이 어떻게 조정될 런지가 관심을 모았죠. * 최근 나토를 둘러싼 현안은 여러 가지가 있죠.​- 미국이 과연 나토에 대한 지원을 어느 정도 할 것인지, - 미국의 국방비 증액 압박과 그 규모는 얼마나 될지,- 지난 2일 트럼프 행정부가 내린 유럽연합에 대한 관세폭탄의 영향은 어떨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러우전쟁 휴전협상 과정과 유럽과 우크라이나 배제 상황에 대한 평가와 대응은 어떻게 될지 등등. 마침 4월 4일은 1949년 나토가 창설된 바로 그날입니다. 창설 76주년을 맞은 것이지요. 나토는 냉전 종식과 1989년 동유럽 체..

(강의자료) 국제정세 분석을 위한 접근법 - paradigm

이번 은 강의 시간에 설명한 국제정치 패러다임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인 패러다임(paradigm)의 적용 사례를 모아본 것입니다.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분석-평가하는데, 그리고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22페이지 분량의 PDF 파일로 종합 정리하였으니, 참고해 살펴보길 권합니다.//.​[강의자료] PDF(22쪽)

중국, 대만 봉쇄 겨냥 군사훈련(2025.4.1~2)

중국은 4월 1일 대만 주변 해역을 포위하는 군사훈련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0월 “연합훈련 리젠(利劍, 날카로운 칼)”란 이름으로 실시한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이뤄진 것이죠.대만의 독립 주장을 둘러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며, 미국의 대만에 대한 안전보장 문제와도 연계되어 있죠.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단층대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대만해협은 남중국해와 더불어 중동으로부터 석유 등 물자 이동이 이뤄지는 핵심 해상교통로(SLOC)이기도 합니다. 유관국들로는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 필리핀, 한국, 일본도 포함되죠. 이번 훈련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와 같은 훈련이 상시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며, 바로 며칠 전인 3월 29일 워싱턴..

[강의자료] 눈으로 살펴보는 국제정치경제(IPE) - 현실주의 시각

이번 에서는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의 하나인 현실주의 시각을 눈으로 읽어보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봅니다. 강의 주교재로 삼고 있는 을 참고하였습니다.PDF 파일로 정리하였으며, 탑재한 참고자료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며 살펴보길 바랍니다.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에는 3가지가 있는데, 현실주의 시각, 자유주의 시각, 맑스주의 시각이 있습니다. 물론 이는 강조하고 주장하는 학자들에 따라 다릅니다. 크게 보아 이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 3가지는 세부적으로 각각 패권안정이론, 죄수의 딜레마와 국제협력의 이익, 그람시적 분석과 연계되어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현실주의(realism)의 기본 가정인 국제체제는 무정부상태이며, 가장 중요한 행위자가 국가이며, 바로 이 국가는 합리적 행위자라는 것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