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전체 글 328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유럽과 인도-태평양 지역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입니다. 유럽과 인도-태평양 지역과 연계된 정상회담 모습이네요. 탐구해 봅니다.  왼쪽의 사진은 2025년 1월 22일 올라프 숄츠(Olaf Scholz) 총리가 프랑스를 방문해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모습입니다. 프랑스를 방문한 것이지요. ​모인 이유 중의 하나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대비책을 논의하고, 유럽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공동전선을 구축하는데 있었겠지요. 앞으로 유럽의 외교 향배가 주목됩니다. https://www.lemonde.fr/en/france/article/2025/01/22/macron-and-scholz-call-for-a-stronger-europe-amid-trump-s-return_6737312..

(강의자료)<존 칩먼 IISS 이사장> 인터뷰(1.23, 다보스)

2025년 1월 23일 존 칩먼(John Chipman) IISS 이사장이 손현덕 매일경제신문 대표와 만나 인터뷰를 했습니다. 2025년 다보스포럼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인터뷰할 기회를 잡았네요. 외교안보 부문 싱크탱크 관련 내용도 소개할 겸 탐구해 봅니다. IISS는 잘 알파시피 영국의 아주 저명한 외교안보 싱크탱크이죠. 국제전략문제연구소로 1958년도에 창설되었습니다. 우리 나이로는 67세쯤 되었네요. 영어로는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입니다. 군사안보 부문을 분석할 때 꼭 참고해야 할 자료인 “The Military Balance” 책자를 간행하는 연구소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매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회의)를..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의 행보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의 행보가 분주합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바로 다음날인 1월 21일에는 쿼드(Quad)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아는 바처럼 이들 나라는 미국, 일본, 인도, 호주이죠. 취임하자마자 동맹국가와 이에 준하는 전략적 동반자 국가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네요. 1월 23일(목)에는 한국의 조태열 외교장관을 비롯해 각국 외교장관과 취임 인사 겸 전화로 외교소통을 하였습니다. 핵심은 “한미동맹은 핵심축(linchpin)”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입니다. 마코 루비오가 통화를 한 나라는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필리핀, 베네수엘라 등이었습니다. 하나같이 미국과 동맹 내지 지정학적으로 중요시하는 나라들임을 알 수 있죠. ..

<시진핑-푸틴 영상회담>(1.21), 이 시기에~왜?

2025년 1월 21일(화)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영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왜 1월 21일(화)에 했을까요. 바로 전날인 1월 20일(월)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을 갖고 2기를 출범시켰습니다, 이러한 시간적 타이밍도 계산에 넣었다고 봐야겠죠. 뭔가 양국 모두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 전하는 보이지 않는 메시지도 담겨있다고 봐야겠죠. 양국 정상 간 영상회의에 대한 내용은 중국 신화통신과 러시아의 타스 통신에 보도된 자료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네요. 또한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와 크렘린에서도 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mfa.gov.cn/eng/xw/zyxw/202501/t20250121_11542093.ht..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무엇이 담겨있나?

2025년 1월 20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습니다.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Make America Great Again)을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모습을 연출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취임함에 따라 홈페이지로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새롭게 단장된 모습에 대한 궁금증도 풀 겸 한 번 찾아가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https://www.whitehouse.gov/ The White HousePresident Donald J. Trump and Vice President JD Vance are committed to lowering costs for all Americans, securin..

[강의자료]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분석> – 어떻게 공부하나?

를 공부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요?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무엇을 다루어야 하는지~필자가 다룬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하나. 는 이렇습니다. 목표, 내용, 왜 공부하는 지 등이 담겨있죠. 이 강좌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국제정세를 분석 평가하며, 최근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특히 2025년 1학기 현재 진행 중인 국제문제에 대한 분석과 함의 파악을 통해 나름대로 국제관계를 보는 시각(觀)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신문스크랩 과제를 수행하며, 세력균형이론, 세력전이이론, 통합이론, 상호의존이론, 지정학, 장주기론, 핵 억지이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을 다룬다. ..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2-1.18) - Issues & Key Words

2025년 1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12일부터 1월 18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 방한(1.13), △ 미국, AI 반도체 포괄적 수출 금지, △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타결, △ 러시아-이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1.17), △ 한국, 쿠바에 한국대사관 개설(1.17)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월 13일에는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성이 한국을 방문해 조태열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한국의 국내 정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외교적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협력관계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 체제의 지속해 가갈 것임을 확약하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같은 날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1.20) 풍경

2025년 1월 20일 미국 47대 대통령 취임식이 거행됩니다. 물론 주인공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입니다. 나이가 1946년생이니 79세이군요.무엇보다 내세우고 있는 점은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로 유명하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제45대 미국 대통령을 지냈으면서, 4년 뒤에 다시 재선해 집권에 성공하였습니다. 전례가 드문 예이기도 하죠. 우리는 이를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에 빗대어 트럼프의 귀환(return of Trump)이라고 부릅니다. 트럼프의 특징은 예측 불가능성입니다. 내세우고 있는 공약도 조금 과격해 기존의 틀을 뛰어 넘는 것이 많습니다. ..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1.15)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국방장관, 국무장관 등 주요 장관들에 대한 인사청문회(hearing)가 시작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5일에는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주관했는데, 어떤 얘기가 진행되었는지 탐구해봅니다.마코 루비오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후보자마코 루비오 청문회Marco Rubio마모 루비오, 대중 강경론파미국에서의 청문회(hearing)는 매우 엄격하과 매우 자세한 내용을 다루면서 진행되지요.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치게 될지 미리 가늠해볼 기회를 갖습니다.​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의 경우도 마찬 가지겠지요. 전체적인 내용은 미국..

<다보스포럼(Davos Forum) 2025>(1.20-1.24)

노래 아파트~, 아파트~ 처럼다보스~, 다보스~, 다보스~. 가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의 시골마을 다보스에서 개최됩니다. 다보스포럼(Davos Forum)다보스포럼 2025세계경제포럼(WEF)제4차 산업혁명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지능화시대(Intelligent Age)를 위한 협력 다보스 포럼은 세계경제포럼(Wordl Economic Forum)으로 불리우며, 매년 1월에 세계적으로 저명한 인사들이 스위스의 작은 마을 다보스(Davos)에 모여 세계 정세와 글로벌 이슈를 심도있게 논의하는 모임입니다. 무엇보다 2016년에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를 처음으로 내건 것으로 유명하죠.www.weforum.org 2025년, 올 해에는 새로운 지구촌 어젠다로 을 새롭게 제시했네요.영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