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읽기자료] 국제질서 재편과 한국의 외교 방향

천상의꿈 2025. 5. 5. 20:43

트럼프 2.0 시대는 새로운 국제질서 재편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한국의 외교 방향과 과제를 다룬 글을 소개합니다.

www.joongang.co.kr

 

국제정치 전문가들의 칼럼은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폭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기도 하지만, 국가의 대응 정책과 전략을 수립,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죠.

 

지금 세계는 1945년 이후 지탱되어 온 규칙, 규범 기반의 국제질서가 힘을 통해 해결해 나가려는 무질서의 모습으로 변화해 가고 있습니다.

[읽기자료]는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자 전(前) 외교통상부 장관의 <혼란기 한국 외교, 뜻맞는 국가들과의 연대 강화>라는 제목의 칼럼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335

 

[선데이 칼럼] 혼란기 한국 외교, 뜻맞는 국가들과의 연대 강화 | 중앙일보

셋째, 국민들은 또한 힘의 논리와 국제 무질서가 아니라 규범이 작동하는 국제질서를 원한다. 그래서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 중국과의 우호 관계라는 기조는 유지해 가면서도, 규범 기반 국제질

www.joongang.co.kr

 

이 글에서는 우리 국민이 원하는 세 가지 사안을 다루고, 이에 따른 외교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글 중에는 로버트 코헤인(Robert Keohane)의 패권 이후(After Hegemony)라는 책 내용도 다루고 있네요.

 

읽기자료 칼럼 중에서 “한국의 경제력, 군사력, 문화력 수준이면 충분히 자신감을 갖고 당당한 외교를 펼쳐나갈 수 있다”는 문장이 특히 와 닿습니다.

우리는 조선, 원자력, 반도체, 자동차, 방산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역량을 갖추고 있죠.

급변하는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 속에 인도, 일본, 유럽연합(EU), 캐나다, 호주,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과의 국제 연대를 강조하고 있어 주목됩니다.

짧은 글이지만 혜안이 담긴 핵심적 사안을 다루고 있으니 필독을 권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