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공부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요?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무엇을 다루어야 하는지~필자가 다룬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하나. <교과목의 개요>는 이렇습니다.
목표, 내용, 왜 공부하는 지 등이 담겨있죠.
이 강좌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국제정세를 분석 평가하며, 최근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특히 2025년 1학기 현재 진행 중인 국제문제에 대한 분석과 함의 파악을 통해 나름대로 국제관계를 보는 시각(觀)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신문스크랩 과제를 수행하며, 세력균형이론, 세력전이이론, 통합이론, 상호의존이론, 지정학, 장주기론, 핵 억지이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을 다룬다.
또한 기초적인 국제관계이론을 토대로 그 사례들을 찾아 실제로 적용해 보는 경험도 하게 된다.
강의 내용은 `이론과 실제, 정책`의 3 박자를 이루고 있으며, 국제관계 역사 및 국제정치경제(IPE), 국제관계(IR)와 연계된 전문지식도 익히게 된다.
어떤가요~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할 수 있죠.
둘. <강의 목표>는
나름대로의 국제정세를 스스로 보는 관점을 갖도록 하는 것이에요. 필자의 <국제정치야 놀자>에 담기 <포스팅> 모두가 이를 갖추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지요.
이밖에도,
- Covid-19 pandemic/endemic, 인공지능(AI) 시대 최근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분석, 평가, 이해,
- 정치 외교, 안보 부문 전공분야 학문적 소양과 기반 함양,
- 정치학, 국제정치, 비교정치학 시각에서 국제정세 탐구 등도 있습니다.

셋. <준비하는 자세>는 세 가지 인데..
- 첫째는 <살아있는, 생활 속의 국제정세>를 다룬다는 것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는 우리들의 지구촌 이야기들인 것이지요.
- 둘째는 스스로 Documentary PD가 되고, 오케스트라 지휘자의 입장에서 다루어 보는 겁니다.
- 셋째는 늘 세계지도를 염구에 두고 곁에 두고 있어야 하는 겁니다. 필자는 강의할 때 직접적으로 느끼라고 <스스로 돌아가는 지구본>을 들고 가서 한 번씩 만져보게 합니다. 직접 지구본을 손에 놓고 다루어 보는 거지요. Google earth. 늘 곁에 두는 겁니다.

넷. <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 다룹니다.
- 인공지능(AI) 시대 국제질서,
- 주간 국제정세 (분석),
- 국제관계 학문 위상,
- 국제정치 패러다임(paradigm),
- 지도자(Political leader)와 리더십,
- 외교(관계),
- Web Site,
- 신문스크랩(PDF),
- 사례(Case Study),
- 지정학, 세력전이이론, 세력균형이론 등 국제관계이론 외(外)

다섯. <주요 교재>는
신문스크랩(PDF), 부교재(학술논문, 외교문서 등), 인터넷 홈페이지, 싱크탱크와 국제관계 저널들, 강의 교재 등이 있습니다.
* 필자의 강의할 때 참고자료로 제시한 <국제정치 분석>에 도움이 되는 책을 PDF로 소개하니 참고하세요.

여섯(끝으로). <강의 구성>은
물론 강사가 직접 강의하고 설명하는 부문이 있구요. 무엇보다 개별 발표에도 중점을 둡니다. 이는 개별적으로 관심 있는 부문에 대한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고 발표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겁니다.
블로그로 소통하는 상황에서 이를 실천에 담기 어렵지만, 독자 여러분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몇 개 뽑아보고 어떻게 발표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을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어차피 공부는 스스로 하게 되어 있으니까요.
PPT로 발표 자료를 준비하되 스크립트도 마련해 보고, 시간은 엄히 13~15분 내외가 적당합니다. 시간 준수 습관을 갖도록 하기 위해 시계 타이머로 정확히 시간을 잽니다.ㅎ 강의 말미에는 낙관(落款) 형식으로 필자가 직접 찍은 <꽃>을 선사합니다.(장미 참조).
* 이중 신문스크랩 부문은 추후 <별도의 포스팅>으로 스크랩 하는 방법 등을 포함해 자세히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중에서 하나 더 추가할 것은 개인별로 국제정치, 국제정세에 관한 개인 <IR 블로그>를 구성해 보도록 하는 겁니다. 강의 종료 시에는 누구다 다 개인 블로그를 하나씩 갖도록 하는 것이지요.
이상으로,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공부하는데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신문스크랩 하는 방법 등 추가적으로 강의 관련 내용들에 대한 포스팅을 계속 다뤄볼 예정입니다.
읽느라 수고하셨고, 위의 내용을 참고해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조금이나 가깝게 접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굿럭&홧팅!.//.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의 행보 (1) | 2025.01.24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무엇이 담겨있나? (1) | 2025.01.22 |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2-1.18) - Issues & Key Words (2) | 2025.01.20 |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1.20) 풍경 (2) | 2025.01.18 |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1.15) (1)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