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읽기자료) <한국외교협회> 간행, [외교](2024년 10월호) – 소개

천상의꿈 2024. 10. 28. 18:37

2024년 10월 한국외교협회(회장: 신봉길)는 <외교>를 발간했습니다. 이는 국제정치와 정치외교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은 꼭 살펴보아야할 자료이죠.

www.kcfr.or.kr


한국외교협회에 따르면, <외교>는

“1987년 창간되었으며, 외교정책 및 국제정치에 대한 분석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학술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전·현직 외교관을 포함한 협회 회원과 학계, 연구기관 등 외부 전문가들의 논문과 학문적 견해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라고 밝히고 있네요.

특히 2024년 10월호는 주목되는 <특집>을 다루고 있어 읽기자료로 소개합니다.

​특집의 주제는 “불확실성의 세계와 한국”입니다. 최근 변화되고 있는 글로벌 질서 재편의 배경과 성격, 그리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까지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어 다 읽어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 시간이 다소 제약되어 있다면, 편집실에서 서문 형식으로 집약한 <특집을 열면서> 부문이라도 탐독하기 바랍니다. (9-18쪽.)

2024년 10월호 <외교>의 구성과 필자는 다음과 같네요.

특집: 북확실성 세계와 한국

- 인터레그넘(Interregnum)의 불확실성과 새로운 시대정신

(박명규, 서울대 명예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 미중경쟁 시대의 한국외교 –전략적 자율성과 동맹 강화의 딜레마-

(이성현, 하버드대학교 아시아센터 연구원)

- 시진핑 3기 체제의 중국 대외 전략 어디로 –시진핑 중국몽의 향배-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교수, 중국정치경제학)

- 북러 신(新)조약의 도전과 한반도

(신범식, 서울대학교 교수)

- 일본의 방위정책 변화와 동아시아 안보질서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부설 국가안보문제연구소장)

- 유럽의 정치 지형 우경화와 국제정치적 함의

(고상두, 연세대 교수)

- 국제질서 급변과 한반도, 한국 외교의 과제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 전 국가안보실장)

이밖에도 <질서 혼란과 글로벌 거버넌스> 제하로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국제규범의 적용

(마영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위원, 전 주이스라엘 대사)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영토병합에 관한 국제법상 고찰

(이용일, 고려대 강사, 전 주코트디부아르 대사)

- 러북 군사협력이 국제 비확산 체제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NPT, 안보리, 한미동맹과의 연관성

(신동익,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연구위원)

- 남중국해 분쟁과 미중 양국의 갈등: 해양법 질서의 확립과 국제정치적 현실

(이창위, 서울시립대 교수)

등이 게재되어 있으며 <외교논고>, <외교지가 만난 사람>, <신간 소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외교협회 홈페이지에서 <PDF>와 <e-Journal> 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s://www.kcfr.or.kr/bbs/board.php?bo_table=611&wr_id=246

 

 

한국외교협회

한국외교협회 협회소개, 학술연구, 공공외교, 협회소식, 열린광장, 간행물 안내

www.kcfr.or.kr

 

현 국제정세 변화와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니, 관심 있는 부문을 찾아 일독하기를 권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