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푸틴 9

<리창> 중국 총리, 러시아 방문(8.20-22) 함의는?

8월 20-22일 리창(Li Qiang) 중국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해 미하일 미슈스틴(Mikhail Mishustin) 러시아 총리와 회담을 하였습니다. 1996년부터 내년 진행되어온 총리 정례 회담으로 제29차이네요. 이번에는 리창 중국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하였습니다.  올해는 양국 수교 75주년 맞아 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 이미 금년 5월에는 푸틴 대통령이 집권 5기 새 출범을 계기로 맨 먼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적이 있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최근 가장 가깝고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죠.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중국은 서방측의 대러 제재에 참여하지 않고 러시아 편에 손을 들어주고 있죠.​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다극화, 다극체제의 세계..

[읽기자료] 러북 정상회담(6.19) 관련 분석-평가 글 소개

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러-북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내 싱크탱크에서 분석, 평가한 글들을 소개하니 읽어 보길 권합니다. 하나는 국가정책과 전략을 다루는 싱크탱크인 에서 6월 21일에 간행한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영향”입니다. [INSS 전략보고, JUNE 2024, No.275] 구성을 보니, I. 푸틴 6월 방북의 배경과 의미II. 러북 정상회담 평가III. 한반도 정세 파장IV. 전략적 고려사항으로 되어 있네요.* 목차를 보면 어떤 내용을 담아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 평가와 함께 이것이 미칠 파급영향과 전략적 고려사항에 초점을 두고 다루고 있습니다. https://inss.re.kr/publicat..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열렸네요. 어떤 내용을 다뤘을까요?

6월 5-8일 간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매년 개최되는 이 포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참석합니다. 그만큼 매우 중요한 행사인 셈이죠.  특히 이번에는 정식 개막을 앞두고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처음으로 외국 언론사를 초청해 기자회견을 가져 주목을 끌었죠. 3월 대통령선거에서 87.28%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고, 5월 7일 2030년까지의 집권 5기를 출범 시킨 이후라 대외적으로 자신감을 가졌기 때문일까요.. 암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을 통해 현재 러시아 경제 부문에서의 중점 사항과 여론 주도층과 정책 추진자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추론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규모를 보니 130여개 국가에서 1..

PPT 하나에 두 개의 장면이~

러시아와 프랑스, 독일 최고지도자들이 국제무대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한 장면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한 모습입니다. 얼마 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중·러 정상회담을 하였죠. 공동성명도 발표하고 중·러 전면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를 심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죠. 집권 5기 대통령 취임식 이후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를 방문하였고, 3번째로 방문한 것이에요.​푸틴 대통령은 미르지요예프(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소용량 원전 건설 협정 체결 등 경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네요. 러시아 나름대로 중앙아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뜻도 담으려 한 ..

<푸틴 대통령>이 꿈꾸는 2030년 러시아 국가목표는?

5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취임식을 치렀죠. 대통령 임기가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집권 5기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취임하자마자 바로 2030년과 2036년까지를 겨냥한 대통령령(Указ)에 서명했어요. 원래 2018년도에도 5월 7일 취임 날 바로 미래 국가발전과 목표를 담은 법령을 발표 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했군요. 러시아에서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은 실제로 정책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고, 실행에 옮기는 경우가 많으니,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원문은 모두 크렘린 대통령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습니다.​아래는 5월 11일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입니다. 참고해 보세요.  이번 5월 7일에 서명한 문서는 공식 명칭이 “2030년까지와 2036년까지의 ..

푸틴 대통령 이름을 본뜬 <푸틴주의>, <푸틴이즘>(Putinism)이 뭔가요?

푸틴 대통령이 2024년 3월 15-17일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득표를 얻었죠. 압승을 거둔 이유와 과연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궁금하죠. , 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죠. 바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 좀 더 이해해 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비록 2015년에 출간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어요. 책이름 자체가 이죠. 월터 라쿼가 지었는데 한글판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저자는 1921년생으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평론가이며, 조지타운대학 교수도 지냈습니다. 책의 목차는 - 소련시대의 종말 - 누가 러시아를 지배하는가? - 새로운 러시아 이상을 떠받치는 기둥들 - 푸틴과 푸틴이즘 - 스탈린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 - 인구통계학 - 새로운 국가노선..

2030년 <러시아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5가지 시나리오

미국 싱크탱크 중의 하나인 Atlantic Council에서 최근 발간된 글을 소개합니다. 제목은 “Russia Tomorrow: Five scenarios for Russia’s future”이고, 저자는 Casey Michel입니다. 필자는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이며, 인권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도둑정치(kleptocracy) 퇴치 프로그램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얼마 전 알렉세이 나발니가 수감 중 급사하고, 서방측의 푸틴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높게 일고 있죠. 또한 3월 17-1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높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어떤 모습을 띠게 될지? 궁금증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내용을 ..

어라~푸틴 대통령이 202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네요. 러시아에서 대통령 임기는 몇 년이죠? 푸틴은 몇 번째 하고 있는 건가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24년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2023년 12월 8일 선언했네요. 202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는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 간 실시됩니다. 원래는 하루에 하는데, 코로나 때문에 2021년 국가두마선거(러시아판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투표율을 높이느라 며칠 더 연장했었지요. 당선은 이미 기정사실화된 분위기예요. 경쟁자가 없죠. 푸틴 대통령이 대선에 나올 거라는 것은 이미 예상된 일이었죠. 헌법을 바꿔 푸틴이 다시 출마할 수 있도록 헌법도 바꾸어 놨고, 러시아내에서 푸틴을 이길만한 뚜렷한 정치지도자가 없어요. 브치옴(www.wciom.ru)이라는 여론조사기관에서 실시한 국민지지도를 보편, 푸틴이 78.5%로 압도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어요. 그러니 출마하면 당선이 당연하니..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2.11-2.17) - Issues & Key Words

2월 세 번째 주의 주간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핀란드 대통령선거, △ 인도네시아 대통령선거, △ Alexei Navalny, △ 뮌헨 국제안보회의, △ 한국과 Cuba 수교 등입니다. 지구촌의 선거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네요. ‘슈퍼 선거의 해’ 답습니다. 2월 11일 핀란드에서는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가 진행되, 이전에 총리를 지냈던 알렉산드르 스투브(Alexander Stubb)가 당선되었습니다. 스투브 전 총리가 51.6%를 획득했고, 경쟁자인 페카 하비스토(Pekka Haavisto) 전 외교장관이 48.4%를 획득했으니 신승했다고 볼 수 있네요. 정치 성향은 중도 우파예요. 핀란드는 를 채택하고 있죠. 국가원수와 내각 행정부 수반이 다릅니다. 대통령이 국가원수이고, 외교정책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