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푸틴 12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전화통화(2025.2.24.)

2025년 2월 24일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화통화를 하였습니다. 시기적으로 러우전쟁 발발 3년이 되는 날이며, 지난 2월 18일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종전 협상을 미국과 러시아간 이뤄진 다음에 이뤄져 주목을 끌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주고받았으며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 지 탐구해 봅니다. 정상 통화는 푸틴 대통령이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보도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양측이 생각하는 측면을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신화망에서 보도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중·러 관계는 강한 내재적 동력과 독특한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제3자를 겨냥하지도, 제3자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시진핑-푸틴 영상회담>(1.21), 이 시기에~왜?

2025년 1월 21일(화)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영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왜 1월 21일(화)에 했을까요. 바로 전날인 1월 20일(월)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을 갖고 2기를 출범시켰습니다, 이러한 시간적 타이밍도 계산에 넣었다고 봐야겠죠. 뭔가 양국 모두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 전하는 보이지 않는 메시지도 담겨있다고 봐야겠죠. 양국 정상 간 영상회의에 대한 내용은 중국 신화통신과 러시아의 타스 통신에 보도된 자료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네요. 또한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와 크렘린에서도 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mfa.gov.cn/eng/xw/zyxw/202501/t20250121_11542093.ht..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0-10.26) - Issues & Key Words

10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20일부터 10월 26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핵심어는 △ G7 국방장관 회담(10.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10.23), △ 조지아 총선(10.26)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G7 국방장관 회의가 열렸습니다.G7 국방장관들은 △ 우크라이나와 중동정세, △ 아프리카와의 파트너십, △ 인도-태평양 지역, △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 중국의 러시아에의 이중용도 물자 등 지원문제, △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등을 주요의제로 다뤘네요.​글로벌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군사안보 현안 모두를 협의하고 의견을 나눈..

<리창> 중국 총리, 러시아 방문(8.20-22) 함의는?

8월 20-22일 리창(Li Qiang) 중국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해 미하일 미슈스틴(Mikhail Mishustin) 러시아 총리와 회담을 하였습니다. 1996년부터 내년 진행되어온 총리 정례 회담으로 제29차이네요. 이번에는 리창 중국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하였습니다.  올해는 양국 수교 75주년 맞아 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 이미 금년 5월에는 푸틴 대통령이 집권 5기 새 출범을 계기로 맨 먼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적이 있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최근 가장 가깝고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죠.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중국은 서방측의 대러 제재에 참여하지 않고 러시아 편에 손을 들어주고 있죠.​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다극화, 다극체제의 세계..

[읽기자료] 러북 정상회담(6.19) 관련 분석-평가 글 소개

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러-북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내 싱크탱크에서 분석, 평가한 글들을 소개하니 읽어 보길 권합니다. 하나는 국가정책과 전략을 다루는 싱크탱크인 에서 6월 21일에 간행한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영향”입니다. [INSS 전략보고, JUNE 2024, No.275] 구성을 보니, I. 푸틴 6월 방북의 배경과 의미II. 러북 정상회담 평가III. 한반도 정세 파장IV. 전략적 고려사항으로 되어 있네요.* 목차를 보면 어떤 내용을 담아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 평가와 함께 이것이 미칠 파급영향과 전략적 고려사항에 초점을 두고 다루고 있습니다. https://inss.re.kr/publicat..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열렸네요. 어떤 내용을 다뤘을까요?

6월 5-8일 간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매년 개최되는 이 포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참석합니다. 그만큼 매우 중요한 행사인 셈이죠.  특히 이번에는 정식 개막을 앞두고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처음으로 외국 언론사를 초청해 기자회견을 가져 주목을 끌었죠. 3월 대통령선거에서 87.28%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고, 5월 7일 2030년까지의 집권 5기를 출범 시킨 이후라 대외적으로 자신감을 가졌기 때문일까요.. 암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을 통해 현재 러시아 경제 부문에서의 중점 사항과 여론 주도층과 정책 추진자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추론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규모를 보니 130여개 국가에서 1..

PPT 하나에 두 개의 장면이~

러시아와 프랑스, 독일 최고지도자들이 국제무대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한 장면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한 모습입니다. 얼마 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중·러 정상회담을 하였죠. 공동성명도 발표하고 중·러 전면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를 심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죠. 집권 5기 대통령 취임식 이후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를 방문하였고, 3번째로 방문한 것이에요.​푸틴 대통령은 미르지요예프(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소용량 원전 건설 협정 체결 등 경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네요. 러시아 나름대로 중앙아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뜻도 담으려 한 ..

<푸틴 대통령>이 꿈꾸는 2030년 러시아 국가목표는?

5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취임식을 치렀죠. 대통령 임기가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집권 5기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취임하자마자 바로 2030년과 2036년까지를 겨냥한 대통령령(Указ)에 서명했어요. 원래 2018년도에도 5월 7일 취임 날 바로 미래 국가발전과 목표를 담은 법령을 발표 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했군요. 러시아에서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은 실제로 정책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고, 실행에 옮기는 경우가 많으니,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원문은 모두 크렘린 대통령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습니다.​아래는 5월 11일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입니다. 참고해 보세요.  이번 5월 7일에 서명한 문서는 공식 명칭이 “2030년까지와 2036년까지의 ..

푸틴 대통령 이름을 본뜬 <푸틴주의>, <푸틴이즘>(Putinism)이 뭔가요?

푸틴 대통령이 2024년 3월 15-17일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득표를 얻었죠. 압승을 거둔 이유와 과연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궁금하죠. , 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죠. 바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 좀 더 이해해 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비록 2015년에 출간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어요. 책이름 자체가 이죠. 월터 라쿼가 지었는데 한글판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저자는 1921년생으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평론가이며, 조지타운대학 교수도 지냈습니다. 책의 목차는 - 소련시대의 종말 - 누가 러시아를 지배하는가? - 새로운 러시아 이상을 떠받치는 기둥들 - 푸틴과 푸틴이즘 - 스탈린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 - 인구통계학 - 새로운 국가노선..

2030년 <러시아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5가지 시나리오

미국 싱크탱크 중의 하나인 Atlantic Council에서 최근 발간된 글을 소개합니다. 제목은 “Russia Tomorrow: Five scenarios for Russia’s future”이고, 저자는 Casey Michel입니다. 필자는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이며, 인권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도둑정치(kleptocracy) 퇴치 프로그램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얼마 전 알렉세이 나발니가 수감 중 급사하고, 서방측의 푸틴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높게 일고 있죠. 또한 3월 17-1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높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어떤 모습을 띠게 될지? 궁금증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내용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