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러-북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내 싱크탱크에서 분석, 평가한 글들을 소개하니 읽어 보길 권합니다.
하나는 국가정책과 전략을 다루는 싱크탱크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 6월 21일에 간행한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영향”입니다. [INSS 전략보고, JUNE 2024, No.275]
구성을 보니,
I. 푸틴 6월 방북의 배경과 의미
II. 러북 정상회담 평가
III. 한반도 정세 파장
IV. 전략적 고려사항으로 되어 있네요.
* 목차를 보면 어떤 내용을 담아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 평가와 함께 이것이 미칠 파급영향과 전략적 고려사항에 초점을 두고 다루고 있습니다.
https://inss.re.kr/publication/bbs/js_view.do?nttId=41037209&bbsId=js&page=1&searchCnd=100&searchWrd=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초록...
inss.re.kr
또 하나는 통일부 산하 연구소인 <통일연구원>에서 6월 24일 간행한 “푸틴의 평양 방문과 러-북관계 전망”입니다. [Online Series. 2024.06.24./ CO 23-42]
일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러시아 관련 전문가인 현승수 박사가 작성했네요.
구성은
- 푸틴 방북의 의미
- 러-북관계에 투사된 러시아의 대전략
- 러-북관계 전망으로 되어 있네요.
* 러시아의 대전략과 전망에 중점을 두고 분석, 평가한 글임을 알 수 있죠.
https://www.kinu.or.kr/main/module/report/view.do?nav_code=mai1674786581&category=53&idx=125386
통일연구원
www.kinu.or.kr
다음은 세종연구소에서 6월 26일 간행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정상회담 평가: 교류협력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입니다. [세종포커스, 2024년 6월 26일]
최은주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 연구위원이 작성하였네요.
구성은
-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격상
- 군사협력의 공식화
- 북러 간 교류 협력 사업의 제도화
- 유엔의 대북제재 무력화와 경제협력사업 확대
- 실효성 있는 성과로의 이행 가능성
- 북중러 관계의 심화 가능성과 효과적인 위기관리의 필요성
* 교류 협력 부문에 중점을 두고 분석, 평가한 점이 보이죠.
https://www.sejong.org/web/boad/1/egoread.php?bd=1&itm=&txt=&pg=1&seq=7765
세종연구소
2024년 6월 18일과 19일 1박 2일 예정으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발표하였다. 6월 19일 새벽에 북한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이후 카퍼레이드
www.sejong.org
* 위의 세 편 글을 통해 같은 주제라도 중점을 두는 접근과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죠^^.
[추가 탐방]
추가로 여유가 있다면, 위의 글들을 통해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비롯해 주요 ‘핵심어’(key words)를 집약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위의 글 모두 나름 의미가 있으니, 모두 읽어 보면서 본인만의 생각과 분석-평가도 갖추어 보길 권합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6월, <유엔안보리 이사회> 외교전 풍경 (2) | 2024.06.30 |
---|---|
<유럽의회> 선거(6.6-6.9) 결과와 파급영향 (0) | 2024.06.27 |
나토(NATO)의 사무총장이 바뀐다구요? (0) | 2024.06.21 |
스위스에서 <우크라이나 평화 정상회의>가 열렸네요. 뭐가 다뤄졌나요? (0) | 2024.06.20 |
이탈리아에서 <G7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네요.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가 있나요?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