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7

국제정치학계 동향 – 트럼프 2.0 시대 관련 학술회의 개최(3.20)

새 봄을 맞아 국제정치학계에서도 세미나, 학술회의, 포럼 등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큰 변수를 다룰 필요가 있기에 이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목해 볼 만한 학술회의 하나 소개해 봅니다. 2025년 3월 20일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김태형)는 “트럼프 2.0 시대 신 국제질서 전망과 한국의 대응”라는 주제 하에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과 함께 서울 용산에서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모두 3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네요. 제목과 함께 그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떤 논문이 발표되는 지만 보아도 그 성격을 알 수 있죠. * 패널 1은 “트럼프 2.0 시대의 국제질서 변화”이며, - 차태서(성균관대), “신 우파 부상과 미국 대전략 패러다임 변동: 탈단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2025.2.24.), 함의와 시사점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러우전쟁이 3년이 되었습니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종전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요. 러우전쟁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와 시사점을 탐구해 봅니다. 먼저 러우전쟁의 국제정치적 함의와 성격을 살펴보죠. 러우전쟁은 두 가지의 중요한 위상과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나는 역사적 전환점을 이룬 것이며, 또 하나는 신냉전의 가시화를 가져온 것이지요. 즉 가치, 체제 중심의 진용 구축 경쟁이 심화되는 계기를 만든 것입니다. 하나, 무엇보다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이 현실화된 사례에 해당됩니다. 이는 글로벌 질서 재편을 둘러싼 미·EU·중·러 간 전략·패권 경쟁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있죠. 크게는 2014년 러시..

[읽기자료] 뮌헨안보회의, 미일정상회담 분석-평가

최근에 진행된 국제정세와 관련된 분석 글을 소개합니다. 하나는 국립외교원에서 간행한 ​지난 2월 14일부터 16일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뮌헨안보회의를 분석, 평가한 글입니다. 종료된 지 바로 분석 평가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담고 있다 할 수 있죠.​반길주 교수는 이번 회의의 배경이 국제정치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미국정치의 변화로 인한 도전과 리스크가 중첩되는 시기에 이루어 졌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러우전쟁의 종전 협상의 여건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성과를 거둔 반면 유럽국가들의 무기력한 모습과 문제의 본질적인 처방에 다가가기보다는 각국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한계도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전체적인 분석의 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구성을 ..

[읽기자료] 한국외교협회, <외교>지(2025년 1월호)

지는 전-현직 외교관으로 구성된 가 1987년 창간하였으며, 계간으로 간행됩니다. 이번에 2025년 1월호가 간행되어 읽기자료로 소개합니다. 이번호는 특집으로 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전, 현직 외교관들로 구성된 것 답게 워싱턴, 베이징, 도쿄, 브뤼셀, 서울의 시각으로 나눠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어 주목됩니다. 세부 목차를 봅니다. o 전체 구성은 - 조태열 외교부장관 외교협회 신년사- 특집: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외정책 전망- 외교논고- 지가 만난 사람- Foreign Relations- 신간소개- 자료- 편집실에서 등입니다. * 특집을 중심으로 세부 내용을 살펴봅니다.특집은 이미 말한 대로 전체 주제가 입니다.​이를 주요국을 중심으로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네요. - 워싱..

(학습자료)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외교안보 참모진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312석을 차지해 제4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에 트럼프 집권 2기가 출범할 예정입니다. 이를 앞두고 차기 행정부 구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외교안보 부문에는 어떤 인물이 발탁되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당선자는 대선 승리 후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외교안보 진용의 인선을 거의 마무리 지었습니다. 시작부터 트럼프 2.0의 시대는 뭔가 다를 것임을 예고한 셈이죠.​외교안보 진용의 핵심 자리는 대통령 유고시 승계 1순위인 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국가안보보좌관, 법무장관, CIA, DNI 국장 등입니다. 먼저 인선된 내용을 보죠.​- 밴스(JD Vance..

<국제정세 분석>-Think Tank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세 분석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국내 싱크탱크 한 곳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입니다. [국립연구원]은 국제문제와 한반도 관련된 최근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글을 발간합니다. 이에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관심이 있다면.. 반려견, 반려묘 처럼 늘 곁에 두고 관심 있게 방문해 봐야 합니다.특히 외교관을 꿈꾸는 분들은 필수과목 처럼 반드시 심층있게 접해야 하는 싱크탱크입니다. ​국내 든 해외든 여러 싱크탱크들을 방문해 게재된 연구물과 그곳에서 개최하는 세미나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을 직접 소통하며 토론하고 만나는 것과 같으니까요. 먼저 국립외교원 홈페이지를 방문해 이모저모 탐방해 보길 권합니다.https://www.knda.go.kr/usr/..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