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312석을 차지해 제4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2025년 1월 20일에 트럼프 집권 2기가 출범할 예정입니다. 이를 앞두고 차기 행정부 구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외교안보 부문에는 어떤 인물이 발탁되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당선자는 대선 승리 후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외교안보 진용의 인선을 거의 마무리 지었습니다.
시작부터 트럼프 2.0의 시대는 뭔가 다를 것임을 예고한 셈이죠.
외교안보 진용의 핵심 자리는 대통령 유고시 승계 1순위인 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국가안보보좌관, 법무장관, CIA, DNI 국장 등입니다.
먼저 인선된 내용을 보죠.
- 밴스(JD Vance) 부통령(40세),
-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53세),
- 피터 헤그세스(Pete Hegseth) 국방장관(44세),
- 마이클 왈츠(Michael Waltz) 국가안보보좌관(50세),
- 맷 개츠(Matt Gaetz) 법무장관(42세) - 사퇴함.
- 엘리스 스테파닉(Elise Stefanik) 주유엔 미국대사(40세),
- 존 랫클리프(John Ratcliffe) CIA 국장(59세),
- 털시 개버드(Tulsi Gabbard) DNI 국장(43세) 등이 핵심을 이룹니다.

인선을 보면 속전속결, 일사분란, 민첩성을 띠고 있습니다. 과거 경험에 비추어 미리 준비된 인상이 강하죠. 수지 와일스(Susie Wiles) 비서실장이 말했듯이 실질적으로 일할 기간은 2~3년이기 때문에 시간의 조급성도 배어있는 거죠.
정책 성향과 방향은 잘 알고 있듯이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미국우선주의(Aemerica First), 보호무역주의. 고립주의. 애국주의 등을 강조하면서 중국 견제·경쟁·제압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경제부문에서 대중(對中) 디리스킹(de-risking)을 너머 전략적 디커플링(decoupling)이 예상되는 부문이죠. 암튼 트럼프 리더십의 ‘파격성’이 오롯이 드러나 주목을 끕니다.
외교안보 인재들을 보면 네오콘과 ‘어른들의 축’을 배제한 40, 50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들은 2001년 9/11 테러 당시 10대, 20대 나이로 애국심을 키워온 세대로 이라크전, 아프가니스탄전에 참전하고 강군의 위력을 경험한 세대이기도 합니다.
https://www.voakorea.com/a/7861645.html
트럼프, 국가안보보좌관에 왈츠 지명… 국무장관에 루비오 유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기 행정부 첫 국가안보보좌관에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을 지명했습니다. 국무장관으로는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이 발탁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두 사람
www.voakorea.com
충성파와 젊은 베테랑을 포진함으로써 ‘강한 미군’, ‘힘에 의한 평화 보장’을 실천하려 합니다. 거래(deal) 논리에 입각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실현하고, 협상과 대화를 통한 미국의 해외전쟁 개입도 최소화하려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내적으로 트럼프는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모두 장악한 레드스윕(Red Sweep) 상태가 되어 마음 컷 자신의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정치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시기적으로 집권 2기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입니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집권 5기인 2024년부터 2030년까지의 기간과 많이 겹칩니다. 또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2027년까지 집권하며, 2032년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죠.
소위 미·중·러 3국의 스트롱맨(strongman)들의 재등장과 외교적, 전략적 체스판에서의 대결이 펼쳐지게 되는 겁니다.
o 국제관계이론과의 접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외교정책결정 모델 중에서 <합리적 결정모형>과 <인간행태모형>, <조직행태모형>에 주목하면서, 향후 트럼프 2.0 행정부의 대외정책 방향과 특징을 주목해 봐야 겠습니다.
- Rational Decision Making Model.
- Human Behavior Model.
- Organizational Behavior Model.
참고로 이의 결정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론과 실제의 관점에서 참고해 살펴보세요.//.
[추가 탐구]
o Rational Decision Making Model.

o Human Behavior Model.

o Organizational Behavior Model.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TO (집단안보조약기구) 정상회의 (카자흐스탄, 11.28) (0) | 2024.12.02 |
---|---|
(학습자료)<1,000일을 넘긴 러우전쟁>, 국제정치적 함의는? (3) | 2024.11.30 |
(강의자료) 2024년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 (3) | 2024.11.26 |
COP29 (아제르바이잔, 바쿠) (3) | 2024.11.25 |
<국제정세 분석>-Think Tank (2)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