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종전 협상 7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2025년 3월 18일(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하고 에너지와 인프라 부문에서의 공격을 멈추는 제한된 휴전(limited ceasefire)에 합의를 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개시된 이래 1118일 만에 임시적이지만 부분 휴전을 하게 된 겁니다.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되지만 그래도 일단 종전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이죠.지난 2월 12일에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있었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2월 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때 미..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의지의 연합(Coalition of Willing)

최근 러우전쟁 종식과 관련해 영국과 프랑스가 주도하고 있는 (Coalition of Willing)에 대해 탐구해 봅니다. 2025년 3월 2일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는 런던에서 열린 EU 특별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을 실행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당시 정상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지속과 대러 경제 압박 계속 증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안보 보장 및 평화회담에의 우크라이나 참여, 의지의 연합 실행 등 4가지 사항에 대해 합의하였습니다. https://www.bbc.com/news/articles/c9vygkzkkrvo Starmer: Coalition of willing to guarantee Ukraine peaceThe UK prime..

러우전쟁 3년, 종전 협상 논의 진행 중(2025.03)

2025년 3월 13일 미국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중동특사가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의를 가졌습니다. 위트코프는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외무장관, 유리 우샤코프(Yuri Ushakov) 크렘린 보좌관은 물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도 만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와 합의안 등을 내놓고 러시아의 생각을 살펴볼 기회를 가진 것이며, 러시아 측은 본인이 생각하는 내용을 미국에 전달하는 기회를 가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제 양측 물 밑 접촉과 더불어 종전을 향한 주고받기 식의 협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트코프(Witkoff)의 러시아 방문 일인 3월 13일 푸틴 대통령은 루카센코(Lukashenko) 벨라루스 대통령..

미국-우크라이나, 종전 고위급 협상(3.11) 막전막후

2025년 3월 11일(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녔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양측의 참석자는미국에서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Mike Waltz) 국가안보보좌관,우크라이나에서는 안드리 예르마크(Aneriy Yermak)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시비하 (Andrii Sibiha)외무장관, 루스템 우메로우(Rustem Umerov) 국방장관입니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그간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지요. 먼저 2월 8일에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취임 후 처음으로 정상통화를 했습니다. 이어 2월 18일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

[2025 월간 국제정세 분석] (2025년 2월) - Issues & Key Words

를 탐구해 봅니다.핵심어는 △ 관세폭탄 시작, △ 네타냐후, 이시바 시게루, 모디, 마크롱, 스타머, 젤렌스키 등 주요국 정상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 뮌헨 안보회의(2.14-16), △ 미국과 러시아, 러우전쟁 종식 회담(2.18), △ 독일 연방의회 총선과 정권교체(2.23), △ 러우전쟁 3년, 유엔안보리와 특별 총회에서 결의안 채택(2.24) 등입니다. 이 기간 동안 간략히 내용과 담긴 함의 등을 탐구해 보죠. 2월초에는 1월 20일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되었기에, 미국이 과연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25%를 부과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졌죠.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를, 중국에 10%를 관세를 시행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이는 3월 ..

트럼프-젤렌스키 파행 이후, 유럽 긴급안보회의(3.2)

2025년 3월 2일(일) 영국 런던에서는 유럽 정상들이 모여 긴급 안보회의를 가졌습니다. 누가 참석했고, 어떤 주제를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  지난 2월 28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의는 양쪽의 설전 끝에 파행 모습을 보였지요. 이는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고 앞으로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협상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유럽의 입장 차가 매우 커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바로 다음 날 런던에서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히 모여 안보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누가 참석을 해 어떤 논의를 하였는지 살펴봅니다. 앞으로 러우전쟁과 유럽 안보질서 재편을 놓고 벌이는 외교 무대의 들이기 때문입니다. 유럽권의 정상들이 거의 다 모였네요. 우선적으로 ..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전화통화(2025.2.24.)

2025년 2월 24일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화통화를 하였습니다. 시기적으로 러우전쟁 발발 3년이 되는 날이며, 지난 2월 18일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종전 협상을 미국과 러시아간 이뤄진 다음에 이뤄져 주목을 끌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주고받았으며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 지 탐구해 봅니다. 정상 통화는 푸틴 대통령이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보도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양측이 생각하는 측면을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신화망에서 보도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중·러 관계는 강한 내재적 동력과 독특한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제3자를 겨냥하지도, 제3자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