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질서 재편 9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2025년 3월 29일자 워싱턴 포스트(WP)는 9쪽 분량의 문서, (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 대해 보도했습니다.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중국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군사 대응의 우선순위를 에 한정해 재조정한 것이죠. 즉 중국의 대만 침공 억제 및 미국 본토 방어에 초점을 두고 그 외의 다른 전장에서 위험을 다소 감수하려는 내용이죠. 이를테면 러시아, 북한, 이란 등의 위협에 대한 대응을 에게 맡긴다는 것이죠. 이는 당사국들의 방위비 증액을 가져오고 국방력도 스스로 강화해 나가야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

러우전쟁 3년, 종전 협상 논의 진행 중(2025.03)

2025년 3월 13일 미국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중동특사가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의를 가졌습니다. 위트코프는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외무장관, 유리 우샤코프(Yuri Ushakov) 크렘린 보좌관은 물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도 만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와 합의안 등을 내놓고 러시아의 생각을 살펴볼 기회를 가진 것이며, 러시아 측은 본인이 생각하는 내용을 미국에 전달하는 기회를 가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제 양측 물 밑 접촉과 더불어 종전을 향한 주고받기 식의 협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트코프(Witkoff)의 러시아 방문 일인 3월 13일 푸틴 대통령은 루카센코(Lukashenko) 벨라루스 대통령..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유럽연합(EU)의 재무장

2025년 3월 7일 유럽연합 특별 정상회의가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3월 4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군사적 지원을 잠정 중단하기로 해 큰 충격이 가해진 분위기에서 진행되었죠.이 회의에서 27개국 유럽연합 회원국은 만장일치로 우크라이나 지원과 유럽 방위력 강화를 위한 논의를 하였으며, 유럽 재무장 계획을 채택하였습니다. 핵심 내용은 유럽이 이제 더 이상 미국의 군사적 지원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자강력을 갖추어 나간다는 것입니다. 군사력 증강에는 돈이 들죠. 총액 8000억 유로(약 1263조원)를 들여 재무장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럽의 재무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겁니다. 동맹과 가치 우선보다 매가(MAGA)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앞세우는 미국 ..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시사점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성격은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확대와 진영화, 다극화, 다극체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각이 이뤄지고,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 창출 노력이 전개 중 등으로 집약됩니다. 여기서 진영화를 이루는 주요 모습은 쿼드(Quad, 미국, 호주, 인도, 일본), 오커스(AUKUS, 미국, 영국, 호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IPEF), 브릭스(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등으로 나타나고 있죠. 수많은 게임체인저(game changers)가 동시에 작용하고, 상대적 국력 변화와 국가 성쇠의 전환점이기도 하죠. 국가발전..

<시진핑-푸틴 영상회담>(1.21), 이 시기에~왜?

2025년 1월 21일(화)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영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왜 1월 21일(화)에 했을까요. 바로 전날인 1월 20일(월)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을 갖고 2기를 출범시켰습니다, 이러한 시간적 타이밍도 계산에 넣었다고 봐야겠죠. 뭔가 양국 모두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 전하는 보이지 않는 메시지도 담겨있다고 봐야겠죠. 양국 정상 간 영상회의에 대한 내용은 중국 신화통신과 러시아의 타스 통신에 보도된 자료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네요. 또한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와 크렘린에서도 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mfa.gov.cn/eng/xw/zyxw/202501/t20250121_11542093.ht..

D. Trump의 최근 행보 –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왜?

2025년 1월 20일 2기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가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Panama Canal)에 대해 도발적인 언사를 쏟아내고 있네요. 속내가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는 12월 25일 자신이 소유한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중남미에 위치한 파나마 운하의 반환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주파나마 대사로 미우선주의자(America First)로 알려진 케빈 마리노 캐브레라(Kevin Marino Cabrera)를 지명했습니다. https://edition.cnn.com/2024/12/25/politics/kevin-marino-cabrera-trump-ambassador-panama-canal/index.html Trump names ambassador to Panama a..

2024년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개최(7.4) 분석

지난 7월 4일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회의는 7월 9~11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나토 정상회의를 며칠 앞두고 이뤄져 국제적 관심을 끌었죠. 어떤 내용이 오갔으며, 국제정치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해 간략히 살펴봅니다.영어로는 SCO입니다.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이네요.​회원 수는 맨 처음에 러시아와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 중심으로 시작해 점차 늘어났습니다. 지금은 인도, 파키스탄, 이란 등이 합류했고, 올해에 벨라루스가 추가로 가입했습니다. 그래서 총 10개국이 되었죠. SCO는 지도상으로 지정학적 위상이 중요합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와 함께 정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열렸네요. 어떤 내용을 다뤘을까요?

6월 5-8일 간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경제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매년 개최되는 이 포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참석합니다. 그만큼 매우 중요한 행사인 셈이죠.  특히 이번에는 정식 개막을 앞두고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처음으로 외국 언론사를 초청해 기자회견을 가져 주목을 끌었죠. 3월 대통령선거에서 87.28%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고, 5월 7일 2030년까지의 집권 5기를 출범 시킨 이후라 대외적으로 자신감을 가졌기 때문일까요.. 암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을 통해 현재 러시아 경제 부문에서의 중점 사항과 여론 주도층과 정책 추진자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추론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규모를 보니 130여개 국가에서 1..

<시진핑> 국가주석이 유럽 3국 순방에 나선 까닭은?

5월 5일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프랑스와 세르비아, 헝가리를 방문하네요.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가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다음 몇 가지 특징과 질문을 중심으로 풀어볼까요~ 1. 오랜만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유럽 방문은 2019년 3월 이탈리아·모나코·프랑스 방문 이후 5년여 만이고,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입니다. 또한 마크롱 대통령이 2023년 4월 중국을 방문한 데 대한 답방 형식이기도 하죠. 2. 배경은 뭐죠? 무슨 얘기를 나눌까요?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과 최근 정세를 반영하고 있죠. ​우선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간 무역 현안인 전기차·태양광 패널·풍력터빈 등 무역 문제를 다루겠죠. 특히 최근 EU(유럽연합)이 중국의 전기차에 대한 반보조금을 조사하려는 시도도 막아보려 하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