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첫 해외 방문국은?

천상의꿈 2025. 1. 31. 12:0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첫 해외 방문국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그 나라는 사우디 아라비아였죠. 왜 그런지~ 탐구해봅니다.

www.chosun.com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는 중동에서 가장 큰 나라이고 미국과 가장 가까운 나라이며, 취임 후 첫 방문국이 될 수 있다.

 

1월 20일 취임 이후에도,

사우디가 미국 상품 5000억 달러(약 720조원)어치 사주면 1기 집권 때와 마찬가지로
사우디를 가장 먼저 방문하겠다.

 

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과 정책 성향, 리더십 일면을 볼 수 있죠.

 

이에 대해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 겸 총리는 “미국에 6000억 달러(약 860조원)를 투자하겠다.”고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단 돈으로 서로 주고받은 모습이네요.

 

사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시절인 2017년에서 첫 방문국으로 사우디 아라비아를 갔습니다. 당시에는 사우디가 미국 무기를 구입하는 것으로 서로 거래를 했죠.

 

그런데 역대 미국 대통령의 첫 해외 방문국은 중동이 아니라 영국(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 캐나다(2009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 멕시코(2001년, 조지 부시 대통령) 등 동맹국에 우선순위를 두었거든요. 그만큼 트럼프의 중동 지역에 대한 관심과 이익 중심의 성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죠.

 

비록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휴전으로 가는 등 일단락되는 듯 보이지만, 아직 중동은 에너지 측면을 포함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죠. 물론 사우디는 이의 선봉장에 있구요.

 

바이든 행정부 시절 미국과 사우디 관계는 별로 안 좋았죠.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행정부가 과거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으로 서로 갈등이 높아진 상태가 지속되었죠.

 

이에 사우디의 외교 행보도 공세적으로 변화되어 중국, 러시아와 가까워진 측면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중국의 중재로 2023년 3월에는 사우디와 이란이 관계 정상화에 합의를 하였죠. 중동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높아졌음을 반증하는 외교적 큰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3월 시작된 러우전쟁의 와중에서 석유값 안정을 위해 미국이 요청한 OPEC 증산 제의도 거절하고 따로 놀았죠. 그리고 2024년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주도하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도 참여하게 됩니다. 이제 미국으로서는 사우디의 전략적 중요성을 재인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된 상황도 작용하겠죠.

 

암튼 트럼프는 경제적 이익을 위한 것을 첫 순위로 꼽으면서 1기 당시 중시했던 사우디에 대한 전략적 포지셔닝을 계속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로서는 경제적 실익도 얻고, 또 나아가 아브라함협정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사우디와 이스라엘 간 외교 관계 개선에 앞장서며 중동 평화의 중재자적 이미지를 구축할 기회도 가질 것으로 보이거든요. 이는 트럼프가 노리는 노벨 평화상에도 한 발짝 더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듯 하구요.

 

사우디로서는 중동 지역의 맹주로서의 역할과 영향력을 과시할 기회를 갖게되는 셈이죠. 또한 이란이 최근 곤혹스런 입장에 있는 것도 유리한 상황이고, 나아가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는 것도 계속 추진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으니까 좋은 것이죠.

 

앞으로 트럼프의 사우디 방문이 실제로 이뤄질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중동정세 향배를 결정짓는 변수이기도 하며, 중동질서 재편과 미국과 사우디 관계, 이스라엘과 사우디, 이란 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파급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지요.

 

중동정세와 함께, 새로 출범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혹여 트럼프가 방문해 빈살만과의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우리는 양자관계의 정상회담 분석 틀을 활용해 그 배경과 전략적 입장, 주요 의제, 회의 결과와 공동성명 등을 통해 분석 평가하면 좋을 듯합니다. 이게 공부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니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