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6일 글로벌 정세 리스크를 분석하는 미국 유라시아그룹이 <2025년 글로벌 10대 리스크>를 선정해 발표했네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봅니다.
유라시아 그룹(Eurasia Group)은 이안 브레머(Ian Bremmer)가 이끌고 있는 저명한 국제문제 컨설팅 회사이죠.
보고서 공식 명칭은 <Eurasia Group's 2025 Top Risks Report> (6 January 2025)입니다. Ian Bremmer, Cliff Kupchan가 공동으로 저술했네요.
첫 문장이 인상적입니다.
"우리는 1930년대와 초기 냉전과 버금가는 세계사에서 유례없이 위험한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
www.eurasiagroup.net
제일 먼저(No.1) 최고의 위험으로 G-제로(The G-Zero)를 꼽았네요. 우리는 보통 G7, G20, 그리고 미-중의 G2를 기억하죠. 그런데 G-제로라니요~ 세계를 이끄는 뚜렷한 세력 또는 국가가 없다고 보는 거지요. 그만큼 세상이 주도적 리더십 없이 혼란을 겪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두 번째부터 목록을 보니,
2) RISK 2: RULE OF DON
3) RISK 3: US-CHINA BREAKDOWN
4) RISK 4: TRUMPONOMICS
5) RISK 5: RUSSIA STILL ROGUE
6) RISK 6: IRAN ON THE ROPES
7) RISK 7: BEGGAR THY WORLD
8) RISK 8: AI UNBOUND
9) RISK 9: UNGOVERNED SPACES
10) RISK 10: MEXICAN STANDOFF입니다.
우리말로 풀어보면,
1) 위험 1: G-ZERO의 승리,
2) 위험 2: Don의 법칙,
3) 위험 3: 미-중 붕괴,
4) 위험 4: 트럼프노믹스,
5) 위험 5: 여전히 불량한 러시아,
6) 위험 6: 벼랑 끝에 몰린 이란,
7) 위험 7: 구걸하는 세상,
8) 위험 8: 족쇄 풑린 AI,
9) 위험 9: 관리되지 않는 공간,
10) 위험 10: 멕시코 교착 상태, 쯤이 될 듯 싶네요.
각 부문별 핵심 사안을 집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략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읽어봅니다. 또한 이에 따른 파장과 대응책은 무엇일까 하는 점에도 관심을 갖고요.
첫 번째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으로,
* G-제로의 승리.
“우리는 1930년대와 초기 냉전과 버금가는 세계사에서 유례없이 위험한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
* Rule of Don.
“행정부 권력과 법치주의에 대한 독립적 견제가 약화됨에 따라 미국의 정책 지형이 한 명의 권력자의 결정에 의존하는 정도가 커질 것이다.”
* 미-중 붕괴.
“트럼프의 재집권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 관계에서 걷잡을 수 없는 디커플링(decoupling)을 촉발할 것이다”
* 트럼프노믹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는 탄탄한 미국 경제를 물려받으려 하고 있지만, 그의 정책은 올해 높은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를 통해 경제의 힘을 약화시킬 것입니다.”
* 여전히 불량한 러시아.
“러시아는 2025년에 세계 질서를 뒤엎기 위해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다.”
* 벼랑 끝에 몰린 이란.
“중동은 2025년에도 가연성 환경으로 남을 것인데, 그 이유는 한 가지 큰 이유가 있다: 이란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렇게 약했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 구걸하는 세상.
“올해 미국과 중국은 다른 모든 나라에 혼란을 수출할 것이며, 이는 세계 경제 회복을 가속화하고 지정학적 분열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 족쇄 풀린 AI.
“대부분의 정부가 가벼운 규제를 선택하고 국제 협력이 주춤함에 따라 AI 기능과 위험은 계속해서 통제되지 않고 증가할 것입니다.”
* 관리되지 않는 공간.
“G-Zero의 심화는 많은 사람, 장소, 공간을 얄팍하게 통제하고 잊혀지게 만들 것입니다.”
* 멕시코 교착 상태.
“멕시코는 올해 국내에서 계속되는 헌법 개정과 재정 압박의 시기에 미국과의 관계에서 만만치 않은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주요 핵심 사안만 읽어보아도 앞으로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 대략적인 추론이 가능하지요.
물론 세상은 위의 것처럼 돌아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위험을 미리 인식하고 대비하게 되니까요. 더 안전하고 평화로운 지구촌을 기약해 봅니다.//.
[추가 탐구]
https://www.eurasiagroup.net/issues/top-risks-2025
Eurasia Group | The Top Risks of 2025
www.eurasiagroup.net
https://www.youtube.com/watch?v=Egp1NMiA6cU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5-1.11) - Issues & Key Words (1) | 2025.01.13 |
---|---|
<이시바 시게루(石破 茂) 총리>, 최근 외교 행보(2025.1) (1) | 2025.01.11 |
[학습자료] G7 대항마, 브릭스(BRICS) 세(勢) 불리기 (1) | 2025.01.08 |
<CES 2025>(1.7-1.10, Las Vegas) (1) | 2025.01.07 |
<미-중 기술패권 경쟁> – 'Tit for Tat' (2)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