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학습자료] G7 대항마, 브릭스(BRICS) 세(勢) 불리기

천상의꿈 2025. 1. 8. 22:55

2025년 1월 6일 브라질은 기존 9개 국가로 구성된 브릭스(BRICS)에 <인도네시아>가 추가 회원이 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로써 브릭스는 모두 10개국이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그렇습니다.

브라질이 발표하게된 것은 2025년 1월 1일 부터 금년도 브릭스 행사의 의장국이 되었기 때문이죠.

www.mk.co.kr

2024년 1월에 기존 5개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 4개국이 추가되어 9개국이 된지 1년 만에 다시 회원국이 늘어나게 된 것이죠.

* 참고로 4개국은 이집트, 이란, 에티오피아, UAE입니다.

 

비록 1개국이 늘어났지만 ASEAN의 핵심국가인 <인도네시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에로의 영역 확대가 이뤄진 것으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는 지금 다자적 세계질서로의 재편과정에 있으며, 진영별로 집단적 세(勢)를 확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다자 협력도 경쟁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죠.

 

이를테면, 미국과 유럽이 중심이 된 서방권의 G7, NATO, QUAD, Chip4, AUKUS, 민주주의정상회의, 한-미-일, 미-일-필리핀 협력체제 등이 대표적이죠.

이에 대응하는 세력으로 중-러를 중심으로 형성된 BRICS, SCO(상하이협력기구), CSTO(집단안보조약기구), EAEU 등을 꼽을 수 있죠. 중간쯤에 해당되는 것이 G20가 되겠네요.

현재 진행 중인 세계질서 재편의 한 추이와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더욱이 최근에 캐나다 트뤼도 총리의 사임, 독일 숄츠 총리 내각 불신임, 영국 총선에서의 노동당으로 정권 교체, 일본 자민당의 총선에서의 과반 확보 실패 등 G7 국가들의 지도자들이 총체적 리더십 위기를 겪고 있어 상대적으로 더욱 주목을 끕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212110

 

'루저 모임' 전락한 G7…'경제대국' 印尼 포섭한 브릭스 - 매일경제

선진국 클럽 잇단 정치 위기고물가·이민정책 반발 커져독일·프랑스 내각붕괴 이어지지율 하락 加 트뤼도 사임브릭스 가입국 10개국 달해이시바, 11일 인니서 정상회담

www.mk.co.kr

 

 

이탈리아 총리만 건재… G7 정상 1년 새 다 몰락했다

이탈리아 총리만 건재 G7 정상 1년 새 다 몰락했다 안보·경제 급변에 잇따라 낙마

www.chosun.com

 

브릭스(BRICS)는 이미 세계 GDP 규모에서 G7을 넘어섰습니다.

1992년에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G7의 경우 46.5%였으며, 브릭스는 16.7%에 불과 했습니다. 그런데 2024년에는 G7이 30%, 브릭스가 35%로 역전되었습니다. 이제 인도네시아가 합류했으니,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격차는 더 커지겠지요.

 

브릭스는 세계 인구의 40%, 국제무역 26%, 원유매장량 44%, 천연가스 매장량 53%, 철 생산 70%, 희토류 7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제법 크고 굉장하죠. 이러니 힘이 실렸다고 판단할 수도 있지요.

 

앞으로도 브릭스(BRICS)에 가입하려는 국가군이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제법 됩니다. 특히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이 이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지구본을 놓고 좀 더 큰 시각에서 세계질서 재편의 모습을 지켜봐야 되겠지요.

 

2024년 브릭스 정상회의는 러시아 카잔에서 10월 22-24일 간 개최되었습니다. 금년도 2025년은 브라질이 의장국이 되어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으로 있죠. 이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브라질은 2025년도 BRICS 정상회의의 의장국으로서 <글로벌 사우스 협력 진전>과 <글로벌 거버넌스 구조 개혁>이라는 두 가지 주요 영역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5가지의 핵심 우선순위 사안을 제시하고 있네요.

- 무역 및 투자 원활화,

- 인공지능(AI) 규제,

- 기후변화 해결,

- 공중보건 협력,

- 제도적 발전 등.

 

https://www.gov.br/planalto/en/latest-news/2025/01/brazil-assumes-the-presidency-of-brics-in-2025

 

Brazil takes over the BRICS presidency in 2025

Country takes the helm of the Global South polit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forum, reinforcing its commitment to a more sustainable and inclusive global governance, and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and financing against climate change

www.gov.br

 

2025년도 1월 1일자로 의장국이 된 브라질이 BRICS 정상회의에서 어떤 점에 중점을 둘 것인지 추론해 보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

 

[추가 탐구]

 

브라질 리우 BRICS 정상회의

https://agenciabrasil.ebc.com.br/en/internacional/noticia/2025-01/brazil-assumes-brics-presidency-bloc-expands

 

Brazil assumes BRICS presidency as bloc expands

Brazil faces key challenges, including integrating new members and developing a local currency payment system to replace the dollar in trade among member countries.

agenciabrasil.ebc.com.b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