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학습자료] <북러 밀착 연구> 관련 참고자료

천상의꿈 2024. 12. 19. 15:57

북러 밀착이 진행되고 있죠. 이에 대해 보다 깊게 공부하고 연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제일 중요한 것은 <문제의 제기>이죠. 관심 사안과 주제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이와 관련해 궁금한 점을 질문해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주제와 연관된 <자료를 수집>하고 읽습니다. 아주 중요한 단계입니다. 읽으면서 그 분야의 지식도 쌓고 생각도 정리하는 것이지요.

그 다음에는 나름대로의 <분석과 평가>를 하고, 여러 생각을 통해 <대안과 대응책, 시사점, 함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됩니다.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자 그러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료의 <수집과 읽기>에 중점을 두어 봅니다.

오늘은 간략히 자료 수집와 읽기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점을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니 참고하세요.

사례의 주제는 <북러관계 밀착>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소개하니, 관심이 있는 것을 선별해 읽어보길 권합니다. 물론 많이 읽을수록 좋겠지요. 다다익선(多多益善)!

 

이와 관련된 자료들로는 북러 정상회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푸틴정부의 대외정책, 북한 관련 소식, 미중 전략 및 패권 경쟁, 북러조약, 북중러 관계 등이 포함됩니다.

 

[읽기 자료 목록]

 

- 강윤희. “북러 정상회담 결과 분석.” 「GLOBAL NK Zoom & Connect and EAI」 (2023).

- 고상두, “우크라이나 전쟁의 동북아 지역 영향과 한국의 대러 전략 및 과제.” 「슬라브학보」 제38권 2호(2023.6), pp. 159-180.

 

- 고재남. 『러시아 외교정책의 이해: 대립과 통합, 푸틴의 길』. 서울: 역사공간, 2019.

- 고재남, “제3기 푸틴정부의 신외교안보 전략과 실제.” 『국립외교원 정책연구시리즈』(2016).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 영향.” 「INSS 전략보고」 (JUNE 2024).

- 김성배. “북한군 러우전쟁 파병의 지정학적 의미 분석.” 「INSS 이슈브리프」, 제622호(2024.11.07.).

 

- 김성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의미와 영향.” 「슬라브학보」, 제37권 2호(2022.6), pp. 1-33.

- 김성진. “러시아 안보정책의 변화: 주요 안보문서를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33권 2호(2018), pp. 91-128.

- 김소정, “러북 신조약의 사이버안보 함의 및 시사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슈브리프』 제576호, 2024년 7월 22일.

- 김정기. “미중전략 경쟁과 우크라이나의 대응전략.” 『중소연구』 제46권 제2호(2022 여름).

- 김정기.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래국가전략.” 진창수·서동주 외. 『게임체인저와 미래 국가전략』 서울: 윤성사, 2023. pp.42-53.

 

- 량미화. “1961년 중조·소조 우호 조약 체결의 재고찰: 양면 동맹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제14권 제1호(통권 30호)(2024), pp.63-93.

- 변현섭. “6.19 북러 정상회담 전후 북러 경제 협력 평가와 전망: 주요 분야별 추진 내용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39권 제3호(2024.09), pp. 145-176.

 

- 서동주. “‘美-EU vs 러-中’ 진영 싸움… 신냉전으로 게임체인지[인사이드&인사이트].” 「동아일보」 (2022.03.08.).

- 서동주. “북러 군사협력 강화와 우리의 과제.” 「북한」 통권621호(2023.09), pp. 16-27.

- 서동주. “미중 복합 지정학적 갈등과 러시아의 전략적 입장 및 대응.” 강봉구 엮음.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유라시아』. 서울: 민속원. 2022.

- 서동주.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신범식 엮음. 『국제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023.

- 서동주. “푸틴의 외교로드, 새로운 다자적 세계질서.” 「동북아 워치」, 제48호(2024.09.24.),

- 서동주. “북·러 정상회담(4.25) 평가와 시사점.” 「INSS 이슈브리프」, 통권 125호(2019.4.30.).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전황과 국제정세 변화.”(HK+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국내학술회의) (2022.11.18.)

- 성원용. “북러 관계 변화의 동인과 북중러 삼각 체제 전망.” 「황해문화」, 통권 123호(2024.06), pp. 55-75.

- 신범식. “북러 신(新)조약의 도전과 한반도.” 「외교」 (2024년 10월호), pp. 72-91.

- 신범식, “푸틴 3기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 변화하는 동북아에서의 적극적 역할 모색,” 「한국과 국제정치」 제29권 제1호(2013), pp. 123-161.

 

- 양욱. “2023년 북한 핵개발 현황 및 평가: 국방력 강화 속에 지속될 2024년 도발.”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2023년 12월 28일.

- 양욱.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속 북한 미사일, 경제 실익과 실전 경험 동시에 얻는 北.” 『이코노미조선』, 2024년 3월 11일.

- 엄구호. “6.19 북러 정상회담의 한반도 안보 시사점.” 『동북아 워치』 제42호(2024).

- 엄구호, “6.19 북러 정상회담의 한반도 안보 시사점.” 「동북아 워치」, 제42호(2024).

 

- 유라시아2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한국 외교의 과제.” (사)유라시아21 정책포럼(2024.11.23.)

- 이상준, “북·러 조약 체결 이후 북·러 관계 밀착의 특징과 영향” 『KDI 북한경제리뷰』 (2024년 11월), pp.24-39.

- 이상준·서동주. “러우 전쟁 이후 북러 밀착과 전략적 이해.” 『러시아연구』 제34권 제1호(2023), pp.205-237.

- 이태림. “최근 러시아의 대북 정책 평가 및 전망: 러시아 내 논의 동향을 중심으로.” 「주요국제문제분석」. 2024-20(2024.8.14.)

- 임수진. “북한군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배경 및 함의.” 「INSS 이슈브리프」 , 제613호(2024.10.22.)

 

- 장덕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중⋅러 관계.” 「외교」(2024년 1월호). 제148호, 86-101.

- 장덕준. “신푸틴독트린과 러시아 대외정책 전망.” 『Russia Eurasia FOCUS』(2015년 1월 26일).

- 장세호. “2024년 제16차 카잔 브릭스 정상회의: 개요와 함의.” 「INSS 이슈브리프」, 제616호(2024.10.30.).

- 장세호. “러시아 푸틴 집권 4기 대내외 정책방향.” 「INSS 전략보고」 (2018).

- 정수현. “러우전쟁과 북러관계: 지속과 변화.” 「2023(사)유라시아21 정책포럼 발제문」(2023.11.23.), p.75.

 

- 제성훈. “크림반도 병합 이후 러시아의 군사안보전략: ‘국가안보전략’과 ‘군사독트린’ 분석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제21권 제4호(2020), pp.87-109.

- 조정현. “「북러 포괄적 전략동반자관계조약」 분석과 우리의 대응.” 『2024 ISSUE PAPER』 vol.6, 한국법제연구원(2024), pp.1-26,

- 차두현. “북러 밀착관계와 「북러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의 함축성.”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2024년 7월 31일.

- 최용환. “북한군 러시아 파병의 의미와 쟁점.” 「INSS 이슈브리프」, 제620호(2024.11.01.).

- 최용환, 이기동. “북한 ‘신냉전’ 구조 활용구상에 대한 평가.” 「INSS 전략보고」, No. 222(2023년 9월).

 

- 최우선. “북·러 동맹과 한국의 정책.” 「주요국제문제분석」, 2024-8(2024.10.25.).

- 최은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정상회담 평가: 교류협력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세종포커스」(2024년 6월 26일).

- 한러대화(KRD). “푸틴 5기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한러관계.” 2024 KNDA-한러대화 정책세미나(2024.6.20.).

- 함형필.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평가 및 전망: 러・북 군사기술 협력이 미칠 영향.” 「한국국가전략」(2024.3). 제24호, pp. 101-124.

 

- 홍완석. “우크라이나 전쟁의 성격, 동학, 함의.” 「슬라브연구」, 제38권 3호(2022.9), pp. 57-91.

- 홍완석. “냉전 시대로의 회귀? 윤석열 정부의 대러정책과 한러관계.” 「국제지역연구」, 제28권 4호(2024.10), pp. 225-250.

- 홍현익. “북러동맹 복원과 한국의 대응.” 「세종포커스」(2024년 6월 27일).

- 황일도. “북러 군사협력 논의와 평양의 지향점: 미 확장억제 공약에 대한 도전.” 「통일정책연구」. 제32권 제2호(2023.12), pp. 85-105.

- 현승수, “푸틴의 평양 방문과 러·북 관계 전망” 『통일연구원 온라인시리즈』, 2026.06.24.

- 홍민. “북러의 군사협력과 외교적 밀착의 전략적 함의.”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2024.10.23.).

- 홍민.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의 전략적 의도와 향후 전망.”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2024.10.29.).

 

* 이를 토대로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접근 방법과 자료 수집, 자료 읽기 등을 경험해 보길 권합니다.

* 물론 그 다음 단계에서는 또 다른 궁금증(호기심)을 발동시켜야 겠지요~.

자신에게 묻습니다.

“그런 가요? 근데...”

“그 다음은 요?”

 

오늘 <포스팅>은 사례를 통해 <북러관계 밀착> 관련 참고자료를 소개하면서, 국제정치의 어떤 분야를 공부할 때 첫 시작인 <자료 수집과 읽기>에 대해 탐구해 보았습니다. 독자 분들의 미래 삶에 행운을 빕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