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AI 생태계 12

미국은 왜 틱톡(TikTok) 사용을 금지시키려 하나? 국제정치경제(IPE) 측면의 함의는?

지난 3월 13일 미국 하원은 틱톡(TikTok) 모회사인 중국계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틱톡을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국제정치경제, 국제정치 측면에서 이의 내면에 담긴 의미와 시사점을 탐구해 봅니다. 표결 결과 찬성이 352표, 반대가 65표로 가결되었죠. 생각보다 찬성이 많이 이뤄졌죠. 이로써 바이트댄스는 165일 안에 틱톡(TikTok)을 중국 이외에 업체에 매각해야 합니다. ​ 이미 3월 7일 미 연방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가 틱톡의 금지를 결의한 적이 있었어요. 사실 틱톡은 미국 내에서 이미 1억 7천만 명이나 이용하고 있죠. 인구의 절반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다른 기업에 팔라고 의회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죠. ​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져오고 불편함이 생길 ..

<저커버그>가 한국을 방문한 이유는? 왜 주목받았나?

메타의 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한국을 방문했네요. 10년만이라는데...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탐구해 봅니다. 메타 이름에서 보듯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메타버스’에 관심이 높지요. 한국에 와서 AI와 메타버스를 연결하는 사업을 모색한 것으로 보이네요. 만난 인사들이 LG전자, 삼성전자의 경영진들만 아니라 AI, XR(확장현실) 스타트업 기업체 그리고 대통령까지 접견했어요. 메타는 LG전자와 대규모언어모델(LLM) ‘라마’를 가전제품에 탑재하는 사업, MR 헤드셋과 연계된 기기 부품 사업 등을 협의했다고 알려졌어요. 즉 ‘라마’ 온디바이스 AI 구현과 혼합현실(MR) 헤드셋 설계-제작 등에 대해 협의한 것이지요. 삼성과는 AI 반도체 설비 문제를 다루었죠. 삼성전자는 이미 구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