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AI 반도체 5

<샘 올트먼>이 한국에 온 이유는. 또 다른 <AI 생태계> 구축?

2025년 2월 4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이 3자회동을 했습니다. 1985년 생인 샘 올트먼(Samuel Altman)이 한국에 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한 누구를 만나 무슨 얘기를 나눴는지 국제정치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봅니다. 이 3자의 회동이 주목 받는 것은 첫째는 중국발 딥시크(DeepSeek)의 충격이 채 가시지 않았던 시점에 이뤄졌으며, 둘째는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에의 3자 연합이 이뤄질 가능성 때문이며, 셋째는 엔비디아와 TSMC가 주도한 것과 대비되는 또 다른 이 구축될까하는 점 때문이라 볼 수 있죠. 샘 올트먼은 한국을 방문해 많은 인사들을 만났습니다.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토대로 살펴봅니다. 샘 올트먼이..

<바이든 행정부>의 라스트 댄스 – 대중(對中) AI 반도체 규제(1.13)

1월 13일 미국 는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포괄적 수출 제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는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주도한 것인데,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을 확정 발표한 것입니다. 내용을 보면 미국의 동맹국(19개국), 적성국가(22개국), 기타 국가로 3분해 체계적으로 규제 조치를 시행하겠다는 것이죠. 여기서 동맹국은 19개국으로 한국, 일본, 호주,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핀란드,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스페인, 스웨덴, 대만, 영국, 노르웨이, 미국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반면에 적성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을 보면 당연히 중국이 들어가 있고 홍콩, 마카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밖에 러시아, 북한, 이란, 베네수엘라, 시리아, 이란, 쿠..

<GPT-4o>, 새로운 신인류의 시대가 오나?

5월 15일(수) 가 생성형 AI(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의 새로운 버전으로 를 발표했네요. 국제정치경제(IPE) 측면에서 탐구해 봅니다. 로 읽죠. 4o의 는 영어 omni(모든 것)을 뜻한다니, 야심차게 이름을 지었군요.​뭐가 다르지. 어떤 영향을 줄 것인데, 왜 이렇게 치열하지...등 궁금합니다. 먼저 세계적 빅테크 기업들이 왜 구축 경쟁에 나서게 되었나가 중요합니다. 2022년 11월 Chat GPT 출현 이후 생성형 AI는 미래 사회를 크게 바꿀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되었죠. 여기에 적응하고 새로운 혁신에 동참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흥망이 결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죠.​그만큼 AI 분야는 중요한 첨단 기술 영역인 셈이죠. 여기에 AI 반도체를 비롯해,..

<저커버그>가 한국을 방문한 이유는? 왜 주목받았나?

메타의 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한국을 방문했네요. 10년만이라는데...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탐구해 봅니다. 메타 이름에서 보듯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메타버스’에 관심이 높지요. 한국에 와서 AI와 메타버스를 연결하는 사업을 모색한 것으로 보이네요. 만난 인사들이 LG전자, 삼성전자의 경영진들만 아니라 AI, XR(확장현실) 스타트업 기업체 그리고 대통령까지 접견했어요. 메타는 LG전자와 대규모언어모델(LLM) ‘라마’를 가전제품에 탑재하는 사업, MR 헤드셋과 연계된 기기 부품 사업 등을 협의했다고 알려졌어요. 즉 ‘라마’ 온디바이스 AI 구현과 혼합현실(MR) 헤드셋 설계-제작 등에 대해 협의한 것이지요. 삼성과는 AI 반도체 설비 문제를 다루었죠. 삼성전자는 이미 구글, ..

미래 세계의 돈이 어디로 가고 있나? <샘 올트먼>이 ‘AI 다국적 연합군’을 모색하고 있는 까닭은?

챗GPT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이 최근 어떤 행보를 보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샘 올트먼(Sam Altman)은 2023년 6월 IT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을 만났고, 이어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하고, 금년 1월에는 한국을 방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반도체 협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무얼 구상하고 있을까요? 바로 AI 반도체 독자 생산을 위한 국제 투자를 모색하고 있는 겁니다. 투자 금액이 무려 최대 7조 달러(약 9300조원)에 이른다고 하네요. 다소 무리가 있는 금액 같아 보입니다만 그만큼 미래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일단 보면, 중동과 일본에게서 자본을 끌어오고 생산은 TSMC와 삼성전자와 협업을 하는 구상이죠. 물론 기본 설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