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푸틴주의 3

<푸틴의 리더십>: 푸틴체제 실로비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00년 집권 이래 2024년 현재까지 장기간 러시아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푸틴이 정치권력을 유지하게 될 배경 중 하나인 지배엘리트에 대해 간략히 탐구해봅니다. 푸틴 대통령은 2020년 개헌을 통해 다시 2차례에 걸쳐(임기 6년) 재출마를 할 수 있게 되었죠. 금년 2024년 3월 17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습니다. 5월 7일 취임식을 하면서 집권 5기를 시작했습니다. 집권 5기는 20230년까지 이지만, 법적으로 한 번 더 나와도 문제가 없으니 맘만 먹으면 실질적으로 2036년까지 집권 가능한 상태입니다. 푸틴의 국제질서 패러다임 인식 파악에는 “푸틴권력”과 “대내외정책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가 긴요하며, 기저에 지정학적 요소..

<푸틴 대통령>이 꿈꾸는 2030년 러시아 국가목표는?

5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취임식을 치렀죠. 대통령 임기가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집권 5기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취임하자마자 바로 2030년과 2036년까지를 겨냥한 대통령령(Указ)에 서명했어요. 원래 2018년도에도 5월 7일 취임 날 바로 미래 국가발전과 목표를 담은 법령을 발표 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했군요. 러시아에서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은 실제로 정책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고, 실행에 옮기는 경우가 많으니,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원문은 모두 크렘린 대통령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습니다.​아래는 5월 11일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입니다. 참고해 보세요.  이번 5월 7일에 서명한 문서는 공식 명칭이 “2030년까지와 2036년까지의 ..

푸틴 대통령 이름을 본뜬 <푸틴주의>, <푸틴이즘>(Putinism)이 뭔가요?

푸틴 대통령이 2024년 3월 15-17일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득표를 얻었죠. 압승을 거둔 이유와 과연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궁금하죠. , 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죠. 바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 좀 더 이해해 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비록 2015년에 출간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어요. 책이름 자체가 이죠. 월터 라쿼가 지었는데 한글판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저자는 1921년생으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평론가이며, 조지타운대학 교수도 지냈습니다. 책의 목차는 - 소련시대의 종말 - 누가 러시아를 지배하는가? - 새로운 러시아 이상을 떠받치는 기둥들 - 푸틴과 푸틴이즘 - 스탈린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 - 인구통계학 - 새로운 국가노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