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인공지능(AI) 6

인지전(認知戰 Cognitive Warfare) 관련 학술회의 개최(2025.5.2.)

2025년 5월 2일(금) 용산에 위치한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플로리스홀에서 관련 공동학술회의가 개최됩니다. 대주제는 이네요. 안보위협과 관련해 새로운 연구 분야로 떠오른 에 관한 학술적 접근을 하는 회의입니다.또한 도 살펴보고자 하고 있네요. 회의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한국세계지역학회, 세종연구소가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주관기관들의 성격을 보니, 학술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책의 실현 측면에서의 평가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크게 두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세션 1]은 이며,[세션 2]는 입니다.​세션 별로 발제자는 각각 2명이며, 토론자는 2인, 3인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토론도 있어 종합할 기회도 가질 수 있네요. 인지전(Cognitive Warfare) 분야는 하이브..

인공지능(AI), 강의 주제, 국제정치경제(IPE)와의 연계

사회과학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지금은 융복합적 측면에서 인공지능(AI)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알아야 합니다. 이의 연장선에 국제정치경제(IPE) 부문이 이에 해당 된다 볼 수 있죠. 인공지능(AI)은 미래 국제질서와 일상생활 양태까지 변화시키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이기도 합니다. 이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 강의 주제만 익혀도 국제정치경제 정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해 에서 운영하는 내용을 소개를 해봅니다. - 생성형 AI(인공지능)의 기술적 진화와 미래 전망 – ChatGPT부터 미래형 AI까지.- AGI(인공일반지능)와 ASI(초인공지능)의 시대의 서막- AI 스타트업이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와 미래 전략 – AI..

<CES 2025>(1.7-1.10, Las Vegas)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Las Vegas)에서 세계 최대의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소위 이죠.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주관하는 이 행사는 매년 세계 최고의 첨단기술을 자랑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2025년도에는 인공지능(AI) 로봇 등 AI 에이전트(Agent)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혁신 제품으로는 구르고 나는 드론(Drone), 걸어 다니는 책상 로봇, 유아를 돕는 AI, 스마트 AI 안경, 대화하는 AI 반려 로봇 등이 있다고 하네요. 한가지 특징적인 것은 모두다 AI(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으며, 실생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스마트 안경의 경우도 다양한 특징을 선보이고 있는데 이를테면, 증강현실(AR)과 AI ..

IPE(국제정치경제) 정세 : <디지털 테크>

최근 AI(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경쟁이 가열 찹니다. AI 음성시장, AI 비서, AI 영상, AI 안보 등등. 챗(Chat) GPT가 불어온 일상에서의 변화이죠. 오픈소스로 배포된 주요 음성 AI 모델과 경쟁을 탐구해봅니다.  이는 국제정치 영역 중에서 국제정치경제(IP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분야와 접맥이 됩니다. 몇 개의 핵심어만 익혀도 도움이 될 듯해서 살펴봅니다. 하면, 누구나 무료로 소스코드에 접근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무료라는 이점을 갖고 있어 많이들 접근하며, 이를 통해 선점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죠. 더 나아가 기술 표준화를 이루는데도 도움이 되구요. LLM(거대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의 경우 AI ..

(학계동향) <정보세계정치학회> 추계학술대회(10.25)

10월 25일(금) (회장: 김상배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과 미래 세계정치 – 디지털 국가책략의 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추계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장소는 대한상공회의소이며, 모두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네요.​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과 연계된 세계정치, 외교안보, 국가책략 등을 다루고 있으며, 국제정치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어떤 주제를 다루고 있는 지 살펴보죠.​* 세션 별 주제가 주목을 끄는데요,​- 1세션에서는 ,- 2세션에서는 ,- 그리고 3세션에서는 주제 하에 기조연설 및 라운드테이블로 진행됩니다.​* 세션별 세부 발표를 봅니다. 제목만 보아도 어떤 내용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죠. ​ - 김명하(서울대). “디지털 지정..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6-10.12) - Issues & Key Words

10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6일부터 10월 12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핵심어는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11], △ ASEAN+한중일 정상회의[10.11]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먼저 작년(2023년) 10월 7일에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1년이 지났습니다.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고 중동정세의 변화를 가져왔죠.​지금도 진행 중에 있어 앞으로 중동 안보질서 변화, 국가 간의 관계, 정치경제적 파급영향, 국제기구의 역할과 인도적 측면 등을 비롯해 여러 측면에서 21세기 전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