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북한군 4

<북러 긴밀화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

2024년 6월 19일 북한과 러시아는 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러우전쟁에 북한군을 파병하는데 까지 이르는 등 더욱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습니다. 최근 북러관계 긴밀화와 관련해 양국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을 탐구해 봅니다. 러시아의 대북 밀착은 크게는 친(親)러시아 진영 구축 차원에서 다극화된 국제질서로의 재편과 대미·NATO·서방 견제의 연장선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안보질서 재편에 있어 한·미·일 3각 협력 구도에 견제용으로 북한 카드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는 앞으로 동북아·한반도 지역에서 ‘한·미·일 대 북·러·(중)’의 갈등 내지 대결 구도가 더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러시아 대북 밀착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이해를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러우전쟁 장기..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게 된 배경

2024년 6월 19일 러시아와 북한은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사실상의 군사동맹을 맺은 것으로, 최근 북러관계가 밀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북·러 간 밀착은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과정 속에 러·북 간 상호 전략적 이해가 부합되어 양국관계의 긴밀화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으로 평가됩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탐구해 봅니다. 북러 밀착의 배경은 크게 4가지 측면으로 집약해 볼 수 있습니다. - 첫째, 북·러 밀착은 양국 간 전략적 이해와 목적이 부합된 가운데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신냉전’ 국제질서 재편에 함께 힘을 모으려는 것입니다.  러시아와 북한 모두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와 일방주의 배격하면서 다극화, 다극체제의 국제질서를..

[2024 월간 국제정세 분석](10월)-Issues & Key Words

2024년 10월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그간 10월 5주 동안 매주 주간 국제정세를 정리했는데, 이니 이의 종합판이 되겠네요. 핵심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죠. 10월 첫 번째 주의(9.29-10.5) 핵심어는,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내각 출범(10.1), △ Mark Rutte NATO 신임 사무총장(10.1), △ 미국 부통령 TV 토론(Tim Walz-J.D.Vance), △ EU, 중국 전기차에 관세(45.3%) 부과, △ 이스라엘-이란-레바논 군사 공방 지속 등입니다. 두 번째 주의(10.6-10.12) 핵심어는,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2024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13-10.19) - Issues & Key Words

10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13일부터 10월 19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스타십, 메카질라, △ 2024 노벨 경제학상, △ MSMT 출범(10.16), △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 △ 야히아 신야르(Yahy Sinwar), △ NATO 국방장관 회담(10.17-18)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0월 13일 스페이스 X가 스타십(Starship) 다섯 번째 시험비행에 성공했습니다. 무엇보다 메카질라(Mechazilla)라는 금속의 기계 젓가락 팔을 사용해 스타십을 재활용하는 신기원을 이룬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우주로 향하는 기술, 나라가 화성까지 탐험하는 일이 더욱 가깝게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론 머스크(Elon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