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군사안보 5

<2025 뮌헨 안보회의> 개최(2025.2.14.-16)

가 2025년 2월 14일부터 16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됩니다. 이번이 61차라고 하네요. 뮌헨 안보회의는 안보 문제와 글로벌 이슈를 다루며 군사, 안보, 외교의 3가지 측면이 모두 투영되는 회의입니다. 뮌헨안보회의에서는 금년회의(MSC 2025)에 대해 “다시 한 번 우리 시대의 주요 외교 및 안보 정책 과제에 대한 고위급 토론을 위한 비할 데 없는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네요.​이 회의는 매년 2월에 열리며, 처럼 세계적인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금년 2025년도의 프로그램을 보면 국방(Defense), 글로벌 질서(Global Order), 인간안보(Human Securit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그리고 기술(Technology) 등 5개 부문으로 구성했습니다..

미국 국방부, <2024 중국 군사력 보고서>(12.18)

2024년 12월 18일 미국 국방부는 를 공개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봅니다. 영어 원문은 입니다.​이 보고서는 매년 발행됩니다.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으로 중국군 부패의 영향, 중국군의 정치훈련, 포괄적인 국력의 중국군 관점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제1장 – 중국군의 전략 이해제2장 – 중국군과 군사력제3장 – 작전 구조와 중국 주변에 대한 행동제4장 – 중국군의 커져가는 글로벌 존재감제5장 – 군현대화를 위한 자원과 기술제6장 – 2023년 국방 접촉과 교환 등입니다. 핵심은 2024년 현재 중국의 핵무기는 600기 정도이며 2030년까지 1000개가 넘는 핵탄두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2049년 중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때까지 대만 무력..

중국, <샹산포럼> 개최(9.12-14), 무엇에 대해 얘기했을까요?

9월 12-14일(토)간 중국 베이징에서는 이 개최되었습니다. 이기도 하지요. 어떤 주제를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 샹산포럼(Xiangshan Forum)은 국방, 안보 관련 포럼으로 지난 6월 초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관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Shangri-La Dialogue)와 비슷합니다. 소위 중국판 샹그릴라 대화이기도 하지요.또한 미국에서 지난 7월 개최된 애스펀 안보포럼(Aspen Security Forum)과도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면 좋을 듯합니다. 유럽에서는 독일에서 매년 2월 경 개최하는 가 가장 유명하죠.​은국제회의 성격을 띠고 있고,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등 90여개 국가와 국제기구 대표단, 싱크탱크 전문가 등 5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샹산포..

<한국국제정치학회, 국방대학교> 국제안보학술회의(9.30)

가을은 학술세미나의 계절이기도 하죠.오는 9월 30일(월)에는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소장: 박영준)가 공동으로 를 개최합니다. 대주제는 "인도-태평양 시대의 한미동맹과 유엔사 발전 방향"입니다.​군사와 안보에 중점을 두고 하는 학술회의임을 알 수 있죠. 최근 국제안보정세 동향과 더불어 어떤 부문에 연구를 하고, 정책적, 전략적 논의를 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죠. 장소는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서울 용산)이며, 회의 방식이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라네요. 사전 등록이 가능하며, 온라인으로는 화상중계를 시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성을 보면,모두 세 개의 세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 제1세션은 “국제정세 변화와 한미동맹..

<한-미-일 국방장관> 도쿄에서 회담 개최(7.28), 군사안보적 함의는?

7월 28일 한미일 국방장관은 일본 도쿄에서 3자 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지 탐구해봅니다. 이미 한미일 정상들은 2023년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3국 정상회담을 가진 적이 있지요. 이번 회의는 3국간 협력을 강화하는 작년 정상회의의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이라 볼 수 있죠. 일본 도쿄에서 만난 한국의 신원식 국방장관, 로이드 오스틴(Lloyd Austin) 미국 국방장관, 미노루 기하라(Minoru Kihara) 일본 방위성은 얼마 전인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회의(제21차 아시아 안보회의, 샹그릴라 대화)에서도 만난 적이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3국 국방장관은 3국간 ‘안보협력 프레임워크 협력 각서’에 서명하였습니다. 영문으로는 “the Memorandum of Cooperatio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