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7일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자민당 전 간사장이 일본 자민당 총재 결선 투표에서 승리했습니다. 일본은 내각책임제라 다수당 총재가 총리가 되죠.
10월 1일에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 체제가 공식 출범 했습니다. 제102대 총리입니다. 물론 내각도 개편해 새로 출범하였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전에 방위상을 역임하는 등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죠. 근데 총리가 되기 직전인 9월 25일 미국 허드슨연구소에의 기고문을 통해 <아시아판 나토(NATO)> 창설 견해를 밝혀 주목을 끌었습니다.

*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할지 탐구해 봅니다.
순서는 대략적으로 이렇습니다. 물론 이것이 완벽한 정답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뉴스를 접하고 탐구해 보는 길을 살펴보려는 것이지요.
이미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아시안판 나토>에 대해서는 국내 신문에서 보도가 되어 일부 알고 있죠.
먼저 이를 정리해 봅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등

다음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평가한 전문가의 견해도 살펴봅니다. 물론 이는 신문에 보도된 뒤에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겠죠.
싱크탱크와 국제정치, 일본 전문가들은 빠르면 하루 만에 늦어도 며칠 안에 1차적인 분석 평가를 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외 싱크탱크들을 탐방해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그리고 나서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9월 25일자로 미국 허스든연구소에 기고한 글, 원문을 접해보고 직접 내용을 파악해 보는 것이죠. 물론 순서가 바뀌어도 좋습니다.
결국, 뉴스, 전문가 평가, 원문 접하기 등이 다 포함되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3단계 쯤 정리해 살펴보면, 나름대로의 식견을 담아 평가해 볼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위의 순서대로 실제로 어떤지 실전 분석에 나서 봅니다.
<1 step>: 국내 신문 보도. 해외신문 보도(예)
'안보통' 日이시바 내각 윤곽 … 외무상에 방위상 출신 내정 - 매일경제
방위정책 주도해온 이와야한일관계 긍정흐름 조율할듯자민당 부총재에 스가 전 총리선대위원장에는 고이즈미이시바 "아시아판 나토 창설"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아
www.mk.co.kr
<2 step> 전문가 평가(예)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4375&menuCl=P07&clCode=P07&koreanEngSe=KOR&pclCode=&chcodeId=&searchCondition=searchAll&searchKeyword=&pageIndex=1
* https://www.inss.re.kr/common/viewer.do?atchFileId=F20241004183534111&fileSn=0
PDF Viewer
www.inss.re.kr
<3 step-final> 원문 읽고 자신만의 분석-평가 해보기
Shigeru Ishiba on Japan’s New Security Era: The Future of Japan’s Foreign Policy
Shigeru Ishiba exclusively shared his views on the future of Japan’s foreign policy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Hudson Institute’s Japan Chair before Mr. Ishiba was elected the president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of Japan on September 27. The f
www.hudson.org
이상으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일본 외교정책의 미래'와 '안보정책 방향'에 대해 탐구해 볼 기회를 가졌습니다. <아시아판 나토>라는 말이 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도 살펴보았네요.
이번 포스팅의 핵심은 하나의 사례연구(case study)를 소개한 것입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죠.
앞으로 이를 참고해서, 이와 비슷하거나 같은 방법으로 주요 뉴스와 이슈를 분석해 나가면, 나름 자신만의 시각을 형성하고, 적지 않은 학문적 정진도 이루어 나갈 겁니다.
굿럭&홧팅!.//.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계동향) [한국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개최(10.17-18) (21) | 2024.10.09 |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9.29-10.5) - Issues & Key Words (15) | 2024.10.08 |
[읽기자료]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체제 출범(10.1) (8) | 2024.10.04 |
[읽기자료] 최근 <중동정세 이해>에 도움이되는 글 <2편> (7) | 2024.10.03 |
NATO의 새 사무총장 – <마크 뤼테>(Mark Rutte) 취임(10.1) (3)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