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정치학계에 발간된 논문집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국제정치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제정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학술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국제정치논총>입니다.
이는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가 계간으로 발간하는 학술지입니다.
이번에 간행된 제호가 제64집 2호입니다. 64년이 되었음을 알 수 있고, 1년에 네 번 출간됩니다(03월 31일, 06월 30일, 09월 30일, 12월 31일). 1963년 08월 10일에 창간호가 발행되었네요. 제법 출간 기간이 길고 역사가 있죠.
발행기간이 1963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되어있으며, 총 권 호수는 164이고, 논문 수는 2,374편입니다.
한국에서 국제정치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로 평가됩니다. 2018년 한국연구재단(KCI)에서 우수등재학술지로 선정했네요.
최근 한국에서의 국제정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최근에 간행된 [제64집 2호]의 경우 총 4편의 논문이 수록되었습니다.
o 민병원 – 사물의 국제정치학: 인간중심주의 이후의 신유물에 대한 고찰
o 신승휴 - ‘자주적-원칙주의 약소국’ 뉴질랜드의 규범외교: 네트워크-역할이론의 시각
o 김헌준 – 인권으로 본 자유주의 국제정치 질서: 도전과 전망
o 홍지연 – 권위주의 국가 내의 반자유주의 확대: 중국 내 현상과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참고로 제64집 제1호에는(2024년 3월 31일 간행)
o 장기영 – 인공지능과 미래 안보에 대한 국제정치 이론적 전망: 국가 및 사회 수준과 개인수준을 중심으로
o 이근욱 – 미어세이머 vs. 미어세이머: 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격적 현실주의
o 김유철 – 현상 변경 패권의 등장?: 현실주의 제도론의 적용을 통해 본 세계무역기구(WTO)의 역할 위기와 탈 사법화
o 이종주 – 김정은의 핵정책 책동(2009-2023): “신랭전”과 「급진적 내부균형」의 핵정책
o 홍지영 – 유럽차원에서의 극우포퓰리즘 정당에 대한 투표 동기: 2019년 유럽의회 선거를 중심으로
o 차정미 – 사이버 공간의 안보화와 ‘사이버 주권’ 논쟁: 중국과 EU의 사이버 주권 담론 비교를 중심으로
o 김태형 – 글로벌 안정/불안정 역설의 심화: 인도-파키스탄 사례에서의 교훈과 과제
o 이율빈 – 중국 금윰 자유화의 점진성과 통화금융 패권화의 한계: ‘신 금융억압 체제’를 사례로
o 연담린 – 구조와 행위자 차원에서 한-러관계 동학 연구: 행태발생론을 중심으로
o 윤대엽 - 인공지능의 무기화 경쟁과 인공지능 군사혁신 등 총 10편이 수록되었습니다.
주제도 다양하고,
이론적 접근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고,
최근 국제정세 현실을 반영하는 것들이 보이죠.
연구논문 다운로드는 일단 학회에 가입되어야 하나, dbpis, kiss 등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국제관련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국제정치논총>에 실린 연구 논문들을 꼭 먼저 찾아 공부하기를 권합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세계정치학회> 특별 컨퍼런스 개최(9.6) (3) | 2024.08.31 |
---|---|
국립외교원, <서울외교포럼 2024> 개최(9.5) (1) | 2024.08.27 |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찾아가는 국제정세 설명회> - 소개 (0) | 2024.07.27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6.28-29) 소식 (2) | 2024.06.24 |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하계 학술대회(6.26-28) 소식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