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한러관계 4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시사점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성격은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확대와 진영화, 다극화, 다극체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각이 이뤄지고,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 창출 노력이 전개 중 등으로 집약됩니다. 여기서 진영화를 이루는 주요 모습은 쿼드(Quad, 미국, 호주, 인도, 일본), 오커스(AUKUS, 미국, 영국, 호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IPEF), 브릭스(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등으로 나타나고 있죠. 수많은 게임체인저(game changers)가 동시에 작용하고, 상대적 국력 변화와 국가 성쇠의 전환점이기도 하죠. 국가발전..

<학술 타임캡슐> 2024년 한러대화-제주평화연구원 공동 컨퍼런스(2024.12.19-20)

2024년 12월에 한러대화(KRD)와 제주평화연구원이 공동으로 학술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주제가 “미국 신행정부의 한러관계”이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사안이기도 하죠.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으로 살펴봅니다. 일시는 2024년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제주평화연구원 2층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모두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개회식에는 허승철(한러대화 사무국장) 고려대 명예교수 사회로 이규형(한러대화 조정위원장) 전 주러대사의 개회사와 강영훈 제주평화연구원장의 환영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봅니다.제1세션의 주제는 “동북아정세 변화와 한러관계”였으며, 3개의 논문 발표와 10명의 토론이 이뤄졌습니다. * 발표:- (엄구호, 한양대 교수),- (고상두, 연세대 명예교수),- (이상수..

<학술 타임캡슐> 한러수교 30주년 학술회의(2020.09.25.)

과거 학술활동을 통해 현재를 조망해 보는 입니다. 2025년은 한러가 수교한 지 35주년 되는 해입니다. 으레 그렇듯 5년, 10년 단위의 기념일은 주목을 받죠. 5년 전인 2020년에는 한러수교 30주년을 맞아 학술회의를 개최했네요.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로 회상해 봅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가 주관한 학술회의는 대주제를 그냥 그대로 담백하게 담았네요. 로요. 일시는 2020년 9월 25일(금), 13:00-18:30이었으며, 장소는 한양대 국제관 6층 스마트회의실이었습니다.(비대면 webinar 형태로 진행)후원은 북방경제협력위윈회에서 했으며,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자세하게 살펴봅니다. 제1세션은 을 다루었으며, - 러 외교분야 협력 30년 평가(엄구호, 한양대)- 러 경제관계 30년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31-4.6) - Issues & Key Words

4월 첫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바이든-시진핑 전화통화, △ 한국, 러시아에 독자 제재, △ 대만 대지진, △ 나토 창설 75주년, △ 우주 핵무기 배치 금지 결의안 제출, △ 레거시(legacy) 반도체 등입니다. 지난 4월 2일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5분 동안 전화통화를 했네요. 작년 11월 미중 정상회담 이후 ‘전략 경쟁 관리 구도’의 모습을 보였는데, 서로의 필요성에 의해 다시 소통을 하게 된 것이지요. ​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다가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대외정세의 안정과 성과를 거두어야 하는 것이고, 시진핑 국가주석은 최근 경기가 안 좋은 경제를 살려야하는 입장이 서로 맞아 떨어진 거죠. ​ 물론 대만독립과 남중국해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