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이상주의 3

(강의자료) 국제정세 분석을 위한 접근법 - paradigm

이번 은 강의 시간에 설명한 국제정치 패러다임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인 패러다임(paradigm)의 적용 사례를 모아본 것입니다.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분석-평가하는데, 그리고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22페이지 분량의 PDF 파일로 종합 정리하였으니, 참고해 살펴보길 권합니다.//.​[강의자료] PDF(22쪽)

(강의자료)<국제정치 패러다임>(paradigm)이 뭐죠?

국제정치 패러다임에 대해 탐구해 봅니다.​  국제정치 패러다임(paradigm)은 여러 가지 의미로 불리 웁니다. 뜻이 여러개 있다는 것이죠.​하나는,​“한시대의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의미합니다.영어로는 “a set of theories that explain the way a particular subject is understood at a particular time”입니다.​또는,​“A model of something, or a very clear or typical example used as a model”로 정의되기도 합니다. 모델이기도 하군요.우리말로는 “어떤 것의 모델, 또는 모델로 사용되는 매우 명확..

AI 생태계 논쟁 : '두머(Doomer) vs 부머(Boomer)'의 향배는?

챗GPT와 연계된 AI 생태계 문제, 두머와 부머에 대해 탐구해 봅니다. 크게보면 국제정치경제(IP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영역이기도 해요. 두머(Doomer)와 부머(Boomer)의 대결 논쟁? 무슨 말인가요? 이는 챗GPT, 생성AI를 둘러싼 개발 논쟁에서 비롯된 말이기도 해요. ​ 두머는 '비관론자'이고, 부머는 '낙관론자'를 의미해요. ​ 얼마전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갑자기 해고되었다가, 다시 복귀한 적이 있었죠. 한 그룹은 생성 AI를 개발하자는 것에 찬성하는 쪽이고, 다른 한편은 생성AI가 위험하니 규제하자는 주장을 펼친데서 비롯된 것이예요. * 의외로 첨단 기술 개발을 놓고 심오한(?) 철학적 논쟁이 포함되어 있죠. ​ 국제정치 패러다임에 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