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외교전 3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막전막후 외교전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전화 통화를 한 뒤,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막전막후(幕前幕後)에서 벌어지는 외교전의 양상을 탐구해 봅니다. 전쟁을 끝내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휴전 또는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기반이 지난 트럼프-푸틴 전화통화를 통해 이뤄졌고, 종전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 졌습니다. 먼저 2월 14일에는 JD 밴스(Vance)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뮌헨에서 모여 논의를 하였습니다. 또한 2월 18일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바로 전날인 2월 17일에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

2024 <유엔 총회> 개막(9.24) - 외교의 각축장

9월 24일부터 개막된 유엔 총회의 모습을 탐구해봅니다. 매년 연례적으로 개최되지만, 각국 정상들이 많이 참석해 국익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국제무대이기도 합니다. 외교의 각축장이자, 외교 무대의 꽃이기도 합니다.2024년 올해의 유엔 총회의 모습은 어떤지 살펴보죠.​우선 참석자 면면을 보면,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란의 페제스키안 대통령,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 등이 있습니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번에 불참하고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대신 참석하네요.​유엔 총회에서의 토의는 현 국제질서의 당면 현안을 반영하고 있으며, 지구촌 개별 구성 국가들의 관심사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또한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

2024년 6월, <유엔안보리 이사회> 외교전 풍경

6월 28일(금) 유엔안보리 이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한국은 지난 6월 6일 유엔안보리 이사국 선거에서 2024-2025년 임기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이때 알제리,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가이나와 함께 선출되었는데요, 193개국중 192개국이 투표에 참여했죠. ​당선을 위해서는 193개국 중 출석 투표한 국가의 2/3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합니다. 한국은 당시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태그룹 소속의 이사국으로 당선되었지요.* 참고로 상임이사국 5개 국가는 알고 있을 테고, 비상임 국가들은 아프리카에 3개국, 아시아 2개국, 동유럽 1개국, 중남미 2개국, 서유럽과 기타지역에 2개국씩 할당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5 + 10으로 총 15개국으로 구성됩니다. 6월에는 이 유엔안보리 이사회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