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서울대 4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2025.04) - <한국의 자체 핵무장> 관련 논의

2025년 4월 10일(목)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한국정치학회와 통일평화연구원이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이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창립 19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의이기도 합니다.주제가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반영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모두 3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대주제는 입니다.트럼프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변화되는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이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논의를 다뤄볼 상황이 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각 세션의 주제는 1세션 ,2세션 ,3세션 입니다. 발표된 논문 제목만 보아도 어떤 부문에 중점을 두고 다루는지 알 수 있죠.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 ,,,, ,,, 등입니다.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발표되며, 미래 한국의 안보 문제..

[읽기자료] 인공지능(AI) 관련, 국제정치 분야 연구물

주제 하에 이뤄진 총 10편의 연구물을 소개합니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소장: 신범식)에서는 [워킹페이퍼 252호부터 261호까지]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구물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 세부 주제들을 적시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찾아 탐독하길 권합니다. [워킹페이퍼 252호] 김상배–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어젠다의 발굴.​[워킹페이퍼 253호] 김용신–인공지능 기술경쟁: 미중경쟁의 맥락.​[워킹페이퍼 254호] 홍건식-인공지능과 규제와 안보화: 미국, 중국, EU를 중심으로.​[워킹페이퍼 255호] 문용일-인공지능과 거버넌스, 민주주의.​[워킹페이퍼 256호] 윤정현-인공지능과 신흥기술안보: 사이버·데이터·포스트휴먼 안보.​[워킹페이퍼 257호] 윤대엽-인공지능과 군사안보: 인공지능의 무기화 경쟁과 군사혁..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최근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김준기)에서 “경제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산업, 문화, 안보의 융합”을 간행하였네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은 2021년 11월 서울대 대학본부 직할 연구시설로 설립하였으며, 이름 그대로 국가정책을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입니다. 국가정책을 다루는 만큼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고, 총 7개의 클러스터로 되어있죠. - 민주주의 클러스터,- 팬데믹 클러스터,- 과학과 기술의 미래 클러스터,- 경제안보 클러스터,- 인구 클러스터,- 글로벌 한국 클러스터,- 탄소중립 클러스터입니다.​https://ifs.snu.ac.kr/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국가와 세계가 직면한 핵심 주제를 연구, 소통하는 클러스터 구성 운영합니다.ifs.snu.ac.kr이중..

<정보세계정치학회> 특별 컨퍼런스 개최(9.6)

9월 6일(금)에 (회장 김상배)에서 특별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장소는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무궁화홀이고, 09:30부터 17:00까지입니다. 이번 회의 주제는"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신흥안보론의 시각"이네요. * 구성은 모두 3부로 되어 있으며,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 2부는 ”신흥안보로 보는 데이터 안보의 국가전략“ - 3부는 ”미래전의 부상과 국방 데이터 정비 방안“입니다. * 발표 제목만 보아도 전문가들이 어떤 부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지 알 수 있죠. 구체적으로 살펴 봅니다.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사회: 김상배 서울대 교수) -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권력 (서봉교, 동덕여대)- 데이터 거버넌스와 개인정보 보호 (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