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7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의 정상회의 풍경들..

2025년 2월 28일(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의가 파행으로 결말이 났습니다. 예정되었던 광물협정도 불발되었지요. 그간 도널드 트럼프와 가진 정상회의의 풍경들을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 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2.4), 이시바 일본 총리(2.7),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2.11), 인도 모디 총리(2.13) 등과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최근인 2월 24일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2월 27일에는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2월 28일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의를 가졌죠. 이들 워싱턴에서 개최된 정상회의는 각자 국익의 입장에서 각양각색의 모습을 ..

도널드 트럼프,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2.12)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협상을 즉각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미국과 러시아 양측이 정상통화를 했다는 점만으로도 앞으로 러우전쟁 향배와 관련해 중요한 진전을 이룬 겁니다. 사실 2022년 2월 러우전쟁 개시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서로 으르렁 대며 전화통화 조차 하지 않았죠. 당연히 협상을 위한 양측 접촉도 별로 없었던 것인데, 이번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새로운 접점을 이룬 것으로 평가될 수 있죠. 사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미국 모두 3년여에 걸친 러우..

<다보스포럼(Davos Forum) 2025>(1.20-1.24)

노래 아파트~, 아파트~ 처럼다보스~, 다보스~, 다보스~. 가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의 시골마을 다보스에서 개최됩니다. 다보스포럼(Davos Forum)다보스포럼 2025세계경제포럼(WEF)제4차 산업혁명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지능화시대(Intelligent Age)를 위한 협력 다보스 포럼은 세계경제포럼(Wordl Economic Forum)으로 불리우며, 매년 1월에 세계적으로 저명한 인사들이 스위스의 작은 마을 다보스(Davos)에 모여 세계 정세와 글로벌 이슈를 심도있게 논의하는 모임입니다. 무엇보다 2016년에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를 처음으로 내건 것으로 유명하죠.www.weforum.org 2025년, 올 해에는 새로운 지구촌 어젠다로 을 새롭게 제시했네요.영어..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입니다.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 탐구해 봅니다. 위의 왼쪽 사진은​9월 12일(목), 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미국 국무장관과 데이비드 래미(David Lammy) 영국 외무장관이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대통령과 만나는 장면입니다. 우크라이나가 요구하고 있는 장거리 타격 미사일의 사용 제한 해제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끌었죠. ​https://apnews.com/article/blinken-lammy-ukraine-russia-missiles-0584fb5f4cf2b89f9b4eea1358700a91 US and UK pledge almost $1.5 billion to help Ukraine during diploma..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8.18-8.24) - Issues & Key Words

8월 네 번째 주의(8.18-8.24) 를 탐구해 봅니다. 8월 18일부터 8월 24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푸틴, 아제르바이잔 방문, △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 카멀라 해리스와 팀 월즈, △ 리창 총리, 러시아 방문 △ 모디 총리, 우크라이나 방문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핵심어에서 알 수 있듯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리창 중국 총리, 모디 인도 총리 등이 해외 방문을 하면서 외교 활동을 하였으며, 미국 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자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초점을 두어야 할 점은 주요국 정상들이 왜 지금 시점에서 해외방문이 이뤄졌을까하는 점이며, 어떤 전략적 목적을 지녔는가하는 점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죠. 또한 이는 미국 대선과 연계되어 정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우크라이나 방문(8.23) 함의는?

8월 23일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얼마 전인 7월 8일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Putin)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방문 당시 모디 총리가 푸틴 대통령과 포옹을 해 젤렌스키가 이를 비판하기도 하였죠. 그런데 이번 방문에서의 모습을 보니 모디 총리와 젤렌스키 역시 포옹하면서 인사를 하였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LMPVWZcqVBU (동영상: 01.24) 이번 방문은 인도 총리가 1991년 옛 소련으로부터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이후 처음으로 방문한 것..

[젤렌스키와 에르도안]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가졌네요. 어떤 함의가 있나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3월 8일 이스탄불에서 정상회담을 하였네요. 무슨 내용이 오갔으며, 이번 회담에 담긴 시사점은 무엇인지? 탐구해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와 전쟁을 치르고 있고, 에르도안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가운데서 중재하고 있어요. 핵심 의제로 전쟁 종식 방안과 흑해 곡물수송에 대해 논의했다고 알려졌네요. 젤렌스키 대통령이 공동 기자회견 뒤 에르도안의 중재 노력에 감사를 표명하고, 튀르키예의 중재 덕에 상당한 인도주의적 성과를 달성했다고 평가했어요. 나름 새로운 협상 분위기를 만드는 모습을 보인 셈이죠. ​ https://www.yna.co.kr/view/AKR20240309005200108 에르도안 "러·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