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5

국제정치학계 동향 – 트럼프 2.0 시대 관련 학술회의 개최(3.20)

새 봄을 맞아 국제정치학계에서도 세미나, 학술회의, 포럼 등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큰 변수를 다룰 필요가 있기에 이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목해 볼 만한 학술회의 하나 소개해 봅니다. 2025년 3월 20일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김태형)는 “트럼프 2.0 시대 신 국제질서 전망과 한국의 대응”라는 주제 하에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과 함께 서울 용산에서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모두 3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네요. 제목과 함께 그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떤 논문이 발표되는 지만 보아도 그 성격을 알 수 있죠. * 패널 1은 “트럼프 2.0 시대의 국제질서 변화”이며, - 차태서(성균관대), “신 우파 부상과 미국 대전략 패러다임 변동: 탈단극..

[읽기자료] 뮌헨안보회의, 미일정상회담 분석-평가

최근에 진행된 국제정세와 관련된 분석 글을 소개합니다. 하나는 국립외교원에서 간행한 ​지난 2월 14일부터 16일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뮌헨안보회의를 분석, 평가한 글입니다. 종료된 지 바로 분석 평가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담고 있다 할 수 있죠.​반길주 교수는 이번 회의의 배경이 국제정치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미국정치의 변화로 인한 도전과 리스크가 중첩되는 시기에 이루어 졌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러우전쟁의 종전 협상의 여건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성과를 거둔 반면 유럽국가들의 무기력한 모습과 문제의 본질적인 처방에 다가가기보다는 각국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한계도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전체적인 분석의 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구성을 ..

2025년 국제정세 전망

이제 2024년도 저물어 갑니다. 내년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세종연구소에서 간행한 로 입니다. 12월 14일 현재 제9호까지 나와 있습니다. - 제1호는 신범철 수석연구위원이 작성한 글로 제목은 “2025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窓)”으로 되어 있네요. ​2025년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으로 3개의 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질서의 문제, 둘째는 지역적 차원의 열점(hot spot), 세 번째 창은 국제경제 상황이네요.​구성은 먼저 2024년 국제정세 회고를 하고, 20225년 정세 전망을 하면서 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으로 3중 위험(risk)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중 위험은 한미관..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읽기자료] 러북 정상회담(6.19) 관련 분석-평가 글 소개

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러-북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내 싱크탱크에서 분석, 평가한 글들을 소개하니 읽어 보길 권합니다. 하나는 국가정책과 전략을 다루는 싱크탱크인 에서 6월 21일에 간행한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영향”입니다. [INSS 전략보고, JUNE 2024, No.275] 구성을 보니, I. 푸틴 6월 방북의 배경과 의미II. 러북 정상회담 평가III. 한반도 정세 파장IV. 전략적 고려사항으로 되어 있네요.* 목차를 보면 어떤 내용을 담아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 평가와 함께 이것이 미칠 파급영향과 전략적 고려사항에 초점을 두고 다루고 있습니다. https://inss.re.kr/publica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