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2025.04) - <한국의 자체 핵무장> 관련 논의

천상의꿈 2025. 3. 25. 22:26

2025년 4월 10일(목)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한국정치학회와 통일평화연구원이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이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창립 19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의이기도 합니다.

주제가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반영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www.kpsa.or.kr; https://ipus.snu.ac.kr

 

모두 3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주제는 <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자체 핵무장 옵션과 여론>입니다.

트럼프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변화되는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이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논의를 다뤄볼 상황이 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각 세션의 주제는

1세션 <트럼프 2.0 시대와 한미의 대북 억제력 위기>,

2세션 <한국의 핵무장과 국내 여론>,

3세션 <한국의 핵무장과 국제사회의 대응 전망>입니다.

 

발표된 논문 제목만 보아도 어떤 부문에 중점을 두고 다루는지 알 수 있죠.

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트럼프 2.0 미국의 확장억제 정책 전망>,

<양안 전쟁과 피로스의 승리 이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한국형 3축체계의 한계>,

<신호전달수단으로 미국의 대북억제(對北抑制)와 대한보장(對韓保障)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

 

<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핵 억제력 확보 필요성과 추진 전략>,

<인구절벽 문제와 한국의 핵무장>,

<민주주의 후퇴와 미국의 확장 억제 신뢰성>,

<안보 vs. 국가위상: 컨조인트 실험을 통한 한국 대중의 핵무장 여론 분석>,

 

<한국의 핵무장과 국제사회의 제재 한계>,

<동아시아 동맹국 핵확산에 대한 미국 유권자들의 인식>,

<한국의 핵무장의 국제법적 정당성과 제재 회피전략>,

<핵무장 이외의 북핵 대응 방안: 미 확장억제 강화 vs. 첨단기술 기발 비핵무기> 등입니다.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발표되며, 미래 한국의 안보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토의가 이뤄지길 기대해 봅니다. 국방과 안보 부문의 자강 노력과도 연계되는 사안인 만큼 국가전략의 관점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