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지배엘리트 2

<푸틴의 리더십>: 푸틴체제 실로비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00년 집권 이래 2024년 현재까지 장기간 러시아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푸틴이 정치권력을 유지하게 될 배경 중 하나인 지배엘리트에 대해 간략히 탐구해봅니다. 푸틴 대통령은 2020년 개헌을 통해 다시 2차례에 걸쳐(임기 6년) 재출마를 할 수 있게 되었죠. 금년 2024년 3월 17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습니다. 5월 7일 취임식을 하면서 집권 5기를 시작했습니다. 집권 5기는 20230년까지 이지만, 법적으로 한 번 더 나와도 문제가 없으니 맘만 먹으면 실질적으로 2036년까지 집권 가능한 상태입니다. 푸틴의 국제질서 패러다임 인식 파악에는 “푸틴권력”과 “대내외정책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가 긴요하며, 기저에 지정학적 요소..

<푸틴 대통령> 중국 방문에 '국방장관'도 함께 갔네요. 또 누가 동행했을까?

5월 16일(목) 베이징에서 중-러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죠.푸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가로 중국을 방문한 것인데, 이번 일정에 같이 동행한 수행원들을 중심으로 방문에 담긴 의미를 탐구해 봅니다. 국빈 방문 성격을 띠어서 외교 의전에도 신경을 많이 쓴 흔적이 보이고, 나름 의미를 부여하려 애를 썼죠. 소모임 형식의 회담이 2차례, 그리고 한 차례의 확대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으며, 공동 기자회견도 이뤄졌습니다. 푸틴-시진핑이 함께한 자리에서 양국이 합의한 문서 서명식도 같이 개최되었습니다. 러시아 측 수행원들을 보면, 이번 방문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추론해 볼 수 있죠.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새로이 국방장관에 임명된 가 있으며, 국가안보회의 서기로 자리를 옮기니 도 동행했습니다. 이밖에 외무장관, 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