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사이버 안보 2

(학계동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학술회의

가을을 맞아 두 군데의 학술회의를 소개합니다.최근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주제만 보아도 공부가 될 듯합니다.물론 관심 있는 학우(學友)들은 참여해 보면 좋겠네요. 먼저 한국사이버안보학회>는 “AI-사이버 안보시대의 정치-외교: 미래 국가전략의 새로운 지평.”이라는 이름으로 학술회의를 엽니다. 으로일시는 11월 14일(목)이며, 장소는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이네요. o 세부 발표 주제를 보면,​- 송태은 (국립외교원 교수). “AI·사이버 안보 시대의 정치·외교.”-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사이버 안보의 새로운 쟁점: AI·우주·양자.”입니다.다른 하나는 한반도평화연구원>에서 개최하는 기획포럼 #62로,주제는 “북한 내부 상황과 북한 인권 개선 방안 – 적대적 두 국가론과 8·1..

[읽기자료] <러시아의 사이버 안보>

러시아의 사이버 안보 관련 책자를 소개합니다. 으로 간행된 책입니다.[러시아의 사이버 안보](신범식, 윤민우, 김규철, 서동주 지음)(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목차는  - 제1장 러시아 사이버 안보의 개념과 원칙- 제2장 러시아 사이버 안보의 국내적 기반과 체제- 제3장 러시아 사이버 안보의 대외적 발현- 제4장 러시아 사이버전- 제5장 한국과 러시아의 사이버 안보 체계-운영 비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제목에서 보듯 러시아 사이버 안보에 대한 전문서라 볼 수 있습니다.머리말에서 이 책이 지닌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네요. 이 책은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 강대국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희소한 러시아의 사이버 안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첫째, 러시아 사이버 안보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