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북러조약 3

<북러 긴밀화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

2024년 6월 19일 북한과 러시아는 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러우전쟁에 북한군을 파병하는데 까지 이르는 등 더욱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습니다. 최근 북러관계 긴밀화와 관련해 양국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을 탐구해 봅니다. 러시아의 대북 밀착은 크게는 친(親)러시아 진영 구축 차원에서 다극화된 국제질서로의 재편과 대미·NATO·서방 견제의 연장선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안보질서 재편에 있어 한·미·일 3각 협력 구도에 견제용으로 북한 카드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는 앞으로 동북아·한반도 지역에서 ‘한·미·일 대 북·러·(중)’의 갈등 내지 대결 구도가 더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러시아 대북 밀착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이해를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러우전쟁 장기..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게 된 배경

2024년 6월 19일 러시아와 북한은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사실상의 군사동맹을 맺은 것으로, 최근 북러관계가 밀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북·러 간 밀착은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과정 속에 러·북 간 상호 전략적 이해가 부합되어 양국관계의 긴밀화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으로 평가됩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탐구해 봅니다. 북러 밀착의 배경은 크게 4가지 측면으로 집약해 볼 수 있습니다. - 첫째, 북·러 밀착은 양국 간 전략적 이해와 목적이 부합된 가운데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신냉전’ 국제질서 재편에 함께 힘을 모으려는 것입니다.  러시아와 북한 모두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와 일방주의 배격하면서 다극화, 다극체제의 국제질서를..

[2024 월간 국제정세 분석](11월)-Issues & Key Words

2024년 11월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그간 11월 5주 동안 매주 주간 국제정세를 정리했는데, 이니 이의 종합판이 되겠네요. 핵심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죠. 11월 첫 번째와 두 번째 주의(11.1-11.9) 핵심어는, △ 트럼프, 미국 대선 승리(11.5), △ 몰도바 대선 결선 투표(11.3), △ 발다이 토론 클럽(11.4-7),△ 유럽정치공동체 정상회의(11.7-8),△ 푸틴, 북러조약 비준(11.9) 등입니다. 11월 세 번째 주의(11.10-11.16) 핵심어는,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재선출, △ 트럼프, 내각 인물 지명, △ 스타머-마크롱 정상회담(11.11), △ 쇼이구 방중,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11.12), △ 페루 APEC 정상회의(11.15-16), △ 바이든-시진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