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미러관계 3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전화통화(2025.2.24.)

2025년 2월 24일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화통화를 하였습니다. 시기적으로 러우전쟁 발발 3년이 되는 날이며, 지난 2월 18일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종전 협상을 미국과 러시아간 이뤄진 다음에 이뤄져 주목을 끌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주고받았으며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 지 탐구해 봅니다. 정상 통화는 푸틴 대통령이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보도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양측이 생각하는 측면을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신화망에서 보도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중·러 관계는 강한 내재적 동력과 독특한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제3자를 겨냥하지도, 제3자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 결의안 놓고 미국-유럽 대서양 동맹 균열

2025년 2월 24일 유엔에서는 총회와 안보리 두 군데서 러우전쟁 3주년을 맞아 결의안을 각각 통과시켰습니다. 근데~ 뭔가 예전과는 다른 모습이 표출되었지요. 핵심은 이었죠.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유엔 안보리에서는 2월 24일 미국이 제안한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찬성 10표, 반대 0표, 기권 5표로 가결 처리했습니다. 안보리가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처음입니다. 기권한 나라는 영국, 프랑스, 그리스, 덴마크, 슬로베니아 등 5개국입니다. 과거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했는데 이번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내용 중에 러시아의 침략행위와 관련된 내용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대신 영국과 프랑스가 이에 기권표를 던지는 등 자유민주주의 진영에서 분열된 모습..

<학술 타임캡슐> 2024년 한러대화-제주평화연구원 공동 컨퍼런스(2024.12.19-20)

2024년 12월에 한러대화(KRD)와 제주평화연구원이 공동으로 학술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주제가 “미국 신행정부의 한러관계”이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사안이기도 하죠.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으로 살펴봅니다. 일시는 2024년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제주평화연구원 2층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모두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개회식에는 허승철(한러대화 사무국장) 고려대 명예교수 사회로 이규형(한러대화 조정위원장) 전 주러대사의 개회사와 강영훈 제주평화연구원장의 환영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봅니다.제1세션의 주제는 “동북아정세 변화와 한러관계”였으며, 3개의 논문 발표와 10명의 토론이 이뤄졌습니다. * 발표:- (엄구호, 한양대 교수),- (고상두, 연세대 명예교수),- (이상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