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

2025년 국제정세 전망

이제 2024년도 저물어 갑니다. 내년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세종연구소에서 간행한 로 입니다. 12월 14일 현재 제9호까지 나와 있습니다. - 제1호는 신범철 수석연구위원이 작성한 글로 제목은 “2025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窓)”으로 되어 있네요. ​2025년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으로 3개의 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질서의 문제, 둘째는 지역적 차원의 열점(hot spot), 세 번째 창은 국제경제 상황이네요.​구성은 먼저 2024년 국제정세 회고를 하고, 20225년 정세 전망을 하면서 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으로 3중 위험(risk)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중 위험은 한미관..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학계동향) <2024 KEI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10.18)

10월 18일(금)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을 비롯해 국내 19개 지역연구학회가 “국제질서 변동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이라는 주제로 ‘2024 KIE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해 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국내외 정치경제문제를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라 볼 수 있죠. 이름 그대로 대외경제정책에 중점을 둡니다. 여타 외교안보 싱크탱크와 마찬가지로 국가정책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하면서 살펴보아야 하는 기관이죠.​KIEP는 이번 행사와 관련해 “세계 지역과의 경제협력 증진 및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네요. 2014년부터 지역연구학회와 공동으로 연례적 학술대회를 주최해 오고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