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대한민국 인공지능(AI) G3 도약 추진

2025년 2월 20일(목)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을 발표했습니다.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어떤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우선 목표는 한국형 AI 챗GPT 개발을 통해 세계 3대 강국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한국은 국가 AI 역량에 있어 미국과 중국 등에 비해 뒤처져 있었는데, 이를 따라집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노력하는 방안을 강구한 것이지요. 이미 미국은 스타케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AI 기술 인프라에 5000억 달러(약 73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죠. 엄청난 돈을 투자해 선도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프랑스도 파리 AI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090억 유로(약 163조원)을 투자하기로 하였습니다.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IPE 정세 –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출범

9월 26일(목) 가 출범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이게 중요한 이유는..세계 각국은 미래 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죠. 바로 미래 국가 번영과 쇠퇴를 좌우할 수도 있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이기 때문이죠. 일단 내세운 목표를 보니, “2027년까지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내세우고 있네요.이를 위한 총 65조원 규모의 돈이 AI 분야에 투자되도록 하겠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의 조직은 대통령이 위원장이며, AI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30명의 민간위원과 주요 부처의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간사)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45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법적으로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지난 8월 6일 대통령령 제3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