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정세 전망 3

<2025년 국제정세 전망> (II)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에서 간행한 입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주관해 발행한 것으로 총 178쪽입니다. 내용 구성은, - 서문,- 요약,​제 I 장 한반도 정세- 북한 내부 정세 /황일도-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 /전봉근, 이상숙 제 II 장 주요국 정세- 동아시아 주요국관계 /최우선- 미국 /민정훈- 중국 /김한권, 표나리, 최진백- 일본 /조양현, 오승희, 윤석정- 러시아 /이태림 제 III 장 지역별 정세- 동남아시아 /최원기, 박민정- 남아시아 /조원득- 유럽 /전혜원- 중동 /인남식- 중앙아시아 /이지은- 아프리카 /김동석- 중남미 /하상섭 제 IV 장 글로벌 이슈와 거버넌스- 국제 금융·통화 /강선주- 국제통상과 경제안..

2025년 국제정세 전망

이제 2024년도 저물어 갑니다. 내년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세종연구소에서 간행한 로 입니다. 12월 14일 현재 제9호까지 나와 있습니다. - 제1호는 신범철 수석연구위원이 작성한 글로 제목은 “2025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窓)”으로 되어 있네요. ​2025년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으로 3개의 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질서의 문제, 둘째는 지역적 차원의 열점(hot spot), 세 번째 창은 국제경제 상황이네요.​구성은 먼저 2024년 국제정세 회고를 하고, 20225년 정세 전망을 하면서 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으로 3중 위험(risk)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중 위험은 한미관..

2024년 국제정세 전망 – 주요국 정세는 어떻게 전망되나? 우리의 대응 방향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간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에서 다룬 내용을 탐구해 봅니다. 세종연구소(소장 이상현)는 2024년 국제정세를 전망한 [정세와 정책](2024년 1월호)(통권 370호)을 간행하였다. 참고로 [정세와 정책]에는 시의성 있는 국제정세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평가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글이 많이 있다. 국제정세 추이와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2024년 국제정세 전망’ 구성은 ​ 국제정세 전체를 조망하는 글과 더불어 각 분야 지역 전문가들이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중동 정세를 다루고 있다. 특징은 주요 국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 1. 먼저 국제정세 전반을 다룬 (이상현, 세종연구소장)부터 시작된다. ​ - 목차는 △ 국제질서의 파편화와 진영화, ..

728x90
반응형